목차
머리말 = 5
제1장 한국어 정표화행 연구에 대한 이해 = 13
1. 정표화행 분류 연구의 중요성 = 13
2. 화행 연구사 = 21
1) 화행 분류에 관한 연구 = 22
2) 한국어 정표화행에 관한 연구 = 33
3. 정표화행 분류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8
1) 연구 범위 = 38
2) 연구 방법 = 43
제2장 정표화행의 개념과 수행 형식 = 53
1. 정표화행의 개념 = 53
1) 정표화행의 범주 구분 = 54
2) 정표화행의 정의 = 68
2. 정표화행의 수행 형식 = 80
1) 화행의 수행 형식 연구 = 80
2) 정표화행의 원형적 수행 형식 = 83
제3장 한국어 정표화행의 유형 분류 = 93
1. 화자 중심적 분류 기준 = 93
1) Searle(1976/1979)의 화행 분류 기준 = 93
2) 기존 연구의 분류 기준과 문제점 = 101
2. 의사소통적 특성을 고려한 분류 기준 = 110
1) 1차 분류 기준 : 대화이동 연속체 내에서의 위치 = 111
2) 2차 분류 기준 : 의사소통 목적 = 116
3) 3차 분류 기준 : 사태에 대한 인식 = 124
4) 4차 분류 기준 : 개별 화행 유형의 분류를 위한 기준 = 127
3. 한국어 정표화행의 유형 = 135
제4장 시작 정표화행 유형의 행위 조건과 수행 형식 = 139
1. 양자 공감형성 정표화행 = 139
1) 사태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찬사, 축하, 기원, 감사, 환대, 호감표현 = 140
2) 사태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염려, 사과 = 198
2. 청자 공감유발 정표화행 = 212
1) 사태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경탄, 환호, 소원 = 214
2) 사태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한탄, 분통표현, 걱정 = 232
3. 청자 반감유발 정표화행 = 254
1) 사태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조롱, 우쭐대기, 악담 = 255
2) 사태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정표화행 : 원망, 질타, 질투 = 276
제5장 반응 정표화행 유형의 행위 조건과 수행 형식 = 299
1. 양자 공감형성 긍정적 정표화행 : 용서, 환영 = 300
2. 양자 공감형성 부정적 정표화행 : 유감 표현 = 314
제6장 정표화행 분류 연구의 의의와 전망 = 323
1. 요약 = 323
2. 연구의 의의 및 앞으로의 과제 = 334
참고문헌 = 336
[부록] 평가화행의 적정 조건과 화행 분류 체계 내에서의 지위 = 349
1. 서론 = 349
2. 평가화행 범주의 특성 = 352
3. 평가화행의 적정 조건 = 363
4. 결론 = 376
찾아보기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