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_ 묻혀진 한국시가사의 역사와 그 현장을 찾아서 : 외국인 한국시가 담론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17
들어가며 : 게일과『남훈태평가』 = 17
1. 재외의 공간과 한국에서 출현한 외국인의 한국시가 담론 = 23
2. 쿠랑과 재외(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 담론 : 한국시가의 발견과 한국문학부재론 = 31
3. 게일과 한국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시가 담론 : 시조의 근대적 재편과 내지인의 관점 = 39
나오며 : 묻혀진 한국시가사와 학술사의 복원을 위하여 = 48
제1부 재외(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 담론 : 한국시가의 발견과 한국문학부재론 = 51
제1장 한국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한국문학론(1893)과『남훈태평가』 = 53
들어가며 : 19세기 말 외국인 한국학과 ''한국문학부재론'' = 53
1. 19세기 말 외국인 한국학과 오카쿠라 한국문학론의 위상 = 60
2. ''한국문학부재론''과 19세기 말 한국의 출판ㆍ유통문화 = 67
3. 한국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 = 77
나오며 : 한국문학부재론과 한국시가의 발견 = 94
제2장 한국시가문학의 집성과 ''문학 텍스트''로서의 고시가 : 모리스 쿠랑의『한국서지(Bibliographie Coréenne)』(1894∼1896)와 한국시가론 = 123
들어가며 : 모리스 쿠랑과 서울의 추억 = 123
1. 한국시가문학의 전체상과 재구성의 문제 = 131
2. 한문시가문학의 구성과 동아시아적 공동성 = 143
3. 국문시가문학의 구성과 한국문화의 고유성 = 170
나오며 : 한국시가문학과 근대 문학 담론 = 187
제3장 한국시가론의 유통과 학술네트워크 : 러시아대장정『한국지(Onucanie Kopeu)』(1900)에 반영된 외국인의 한국시가론 = 191
들어가며 : 한국학의 통국가적 유통과 학술네트워크 = 191
1.『한국지』에 새겨진 외국인 한국문학론의 중심기조 = 198
2.『한국지』에서 소거된 19세기 말 외국인 한국시가론의 수행적 맥락 = 205
나오며 : 미완의 한국학 기획과 개신교 선교사 = 225
제2부 한국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시가 담론 : 시조의 근대적 재편과 내지인의 관점 = 231
제4장 개신교 선교사의 시조번역과 ''내지인의 관점'' :『朝鮮筆景(Pen-picture of Old Korea)』(1912) 소재 영역시조의 창작연원 = 233
들어가며 : ''개신교 선교사''라는 정체성과 한국문학 = 233
1.『朝鮮筆景』소재 영역시조의 편제와 창작연원 = 239
2.『朝鮮筆景』소재 한국문학론과 한국고전의 문화생태 = 245
3.『朝鮮筆景』소재 영역시조의 창작이론과 ''내지인의관점'' = 251
나오며 : 내지인의 관점과 ''옛 조선의 형상'' = 265
제5장 시가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 유고(James Scarch Gale Papers)』소재 영역시조(1912∼1921)와 시조 담론의 계보학 = 283
들어가며 :『게일 유고』에 새겨진 한국고전번역가의 꿈 = 283
1.『朝鮮筆景』소재 영역시조와 시조 장르의 재편 : ''노래''에서 ''문학''으로 = 291
2.『일지』소개 영역시조와 시가어의 재편 : ''구어''에서 ''문학어''로 = 307
나오며 :『게일 유고』소재 영역시조와 시조의 근대적 재편 = 327
닫는 글 _ 고시조 소환의 주체, 고시조 담론의 지평 : 1910년대 게일ㆍ육당의 한국시가 담론과 조선''문학''ㆍ국''문학''으로서의 시조 = 355
들어가며 : 육당(六堂)을 찾아간 서양인 개신교 선교사 = 355
1. 육당ㆍ게일의 시조인식과 ''고(古)''시조(時調)의 소환 = 359
2. 육당ㆍ게일의 시조담론과 조선''문학''ㆍ국''문학''으로서의 시조 = 371
나오며 : 근대의 학술담론과 시조의 존재양상 = 388
참고문헌 = 419
1. 자료 = 419
2. 참고논저 = 422
3. 초출문헌 =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