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부 근대 민요시의 형성과 작품세계
Ⅰ. 서론 = 13
1. 연구목적과 방법 = 13
2. 기존 연구의 검토 = 19
Ⅱ. 민요시의 개념과 그 범주 = 24
1. 민요시의 명칭과 개념 = 24
2. 민요시의 민요 수용과 그 특성 = 38
1) 민요시의 어법 = 38
2) 민요시의 율격 = 51
3) 민요시의 구조 = 61
4) 민요시의 주제 = 66
3. 민요시의 계보와 장르적 성격 = 68
1) 고려속요와 사설시조 = 68
2) 민요 취향의 한시 = 77
3) 개화기의 민요 수용 시가 = 80
Ⅲ. 민요시 형성의 기반과 민요인식 = 85
1. 민요의 전승과 수용의 국면 = 85
1) 잡가와 유흥민요의 수용 = 85
2) 근대 민요의 양상과 항일민요 = 101
2. 민요인식의 태도와 시각 = 115
1) 민족주의의 민요관 = 118
2) 민중주의의 민요관 = 132
Ⅳ. 민요시의 전개와 작품세계 = 144
1. 민요시의 형성과 그 위상 = 144
1) 김소월 시의 자연인식과 부조화의 현실 = 144
2) 홍사용 시의 여성정조와 부조화의 현실 = 154
3) 김석송 시의 민중지향과 현실비판 = 166
2. 민요시의 대립적 전개와 확산 = 175
1) 낭만적 세계인식의 민요시 = 176
가. 김억·주요한의 ''조선심'' 추구와 관념지향성 = 176
나. 한정동·유도순·윤석중·정지용 시의 애상성과 낭만성 = 192
2) 비판적 세계인식의 민요시 = 210
가. 김동환 시의 민중지향과 자연서정 = 212
나. 양우정·남궁랑·정노풍의 시와 민중현실 = 220
3. 민요시의 계승과 전환 = 229
1) 김영랑·이하윤·한죽송·김종한의 시와 순수서정 = 229
2) 허삼봉·허수만·임현극의 시와 농민현실 = 242
Ⅴ. 결론 = 256
참고문헌 = 259
제2부 근대 민요시론의 양상과 성격
Ⅰ. 서론 = 269
Ⅱ. 민요·민요시·민요시론의 관계 = 276
Ⅲ. 민요시 지향의 동기 = 283
1. 김소월 : 평범하고 관습적인 세계의 재인식 = 283
2. 홍사용 : 민요 세계의 주체적 인식 = 288
3. 김억 : 서구시 경험의 계승과 반성 = 292
4. 주요한 : 외국시의 자각적 인식과 우리 시의 모색 = 296
5. 김동환 : 프로문학의 이념 추구와 구현 방법 = 301
Ⅳ. 민요시 지향의 정신 = 307
1. 김소월 : 시혼 = 308
2. 홍사용 : 우리의 넋 = 311
3. 김억 : 조선심 = 314
4. 주요한 : 조선혼 = 319
5. 김동환 : 애국심 = 323
Ⅴ. 민요시의 율격의식 = 332
1. 김소월 : 음영론 = 333
2. 홍사용 : 민족적 리듬론 = 336
3. 김억 : 격조시형론 = 338
4. 주요한 : 율격시험론 = 342
5. 김동환 : 민요율격답습론 = 344
Ⅵ. 민요시와 근대시의 탐구 방향 = 347
1. 민요시와 자유시 = 349
2. 민요시와 시조 = 359
3. 민요시와 프로시 = 366
Ⅶ. 결론 = 380
참고문헌 = 386
찾아보기
사항별 = 389
인명별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