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부 토씨
중세어 ''이'' 비유격조사고 = 13
1. 머리말 = 13
2. 어례와 검토 = 14
3. 인접어와의 비교 고찰 = 28
4. 기타의 문제 = 35
5. 맺음말 = 40
토씨 ''애/의''의 발달고 : 계보의 모색을 위하여 = 43
1. 머리말 = 43
2.『삼국유사』의 향가를 통한 ''애/의''의 살핌 = 44
3.『균여전』의 향가를 통한 살림 = 58
4. 이두에 의한 ''애/의''의 살림 = 62
5. 중세어에서의 ''애/의''의 살핌 = 64
6. 맺음말 = 67
중세 국어의 형태소 ''샨''과 ''산녀''의 통어 기능 연구 = 71
1. 머리말 = 71
2. 중세어에서의 ''샨''과 ''샨녀'' = 73
3. 맺음말 = 87
중세 국어의 대비격조사고 = 89
1. 머리말 = 89
2. 중세 국어의 대비격조사의 분류 = 89
3. 각 대비격조사에 대한 고찰 = 90
4. 대비문의 구문론적 성립 여부에 관한 고찰 = 99
5. 맺음말 = 101
한국어 조사의 어원 연구 1 = 103
1. 머리말 = 103
2. 한국어 조사의 어원 = 104
3. 맺음말 = 131
한국어 조사의 어원 연구 2 = 133
1. 머리말 = 133
2. 한국어 조사의 어원 = 134
3. 한국어 조사의 발달 원리 = 171
4. 한국어 조사의 발달 요건 = 175
5. 한국어의 격의 본질 = 179
6. 맺음말 = 183
한국어 이두의 처소격조사 ''良中''의 어원 연구 = 186
1. 머리말 = 186
2. ''良中''의 어원 = 187
3. 맺음말 = 211
이두의 여격조사 ''亦中''에 관한 고찰 = 214
1. 머리말 = 214
2. ''亦中''의 용례 및 검토 = 215
3. ''亦中''의 어원 = 221
4. ''亦中''와 ''게''(○)''와의 대응관계 = 222
5. ''亦中''가 완전히 역격조사로 쓰인 시기 문제 = 225
6. 맺음말 = 227
우리말 토씨의 발달 원리 = 228
1. 머리말 = 228
2. 참된 뜻의 자리란? = 229
3. 우리말의 참된 자리와 그 토씨 = 232
4. 제2차적 자리토씨의 문제 = 236
5. 토씨 발달의 조건 = 238
6. 우리말 토씨의 발달 원리 = 242
7. 맺음말 = 247
주격조사 ''가''의 어원고 = 248
1. 머리말 = 248
2. ''가'' 주격조사의 어원 = 249
3. 맺음말 = 258
제2부 씨끝(어미)
''오/우'' 형태소고 : 老乞大와 朴通事를 中心으로 = 263
1. 머리말 = 263
2. 용례를 통한 ''오/우''고 = 264
2. ''오/우''의 명칭문제 = 298
4. 맺음말 = 298
이두의 ''遣''와 ''古''의 통어 기능 = 301
1. 머리말 = 301
2. ''遣''에 대한 상고 = 302
3. 맺음말 = 318
제3부 조건월
조건월 연구 = 323
1. 머리말 = 323
2. 용례와 분석 검토 = 324
3. 맺음말 = 371
제4부 음성학
한국어 고룸소리의 어원 연구 = 375
1. 머리말 = 375
2. 고룸소리의 어원 = 379
3. 맺음말 = 401
겹받침 가운데 한 받침의 묵음화에 관한 생리음성학적 원인 = 403
1. 머리말 = 403
2. 용례와 분석ㆍ검토 = 414
3. 맺음말 = 412
''ㄹ'' 벗어난끝바꿈의 까닭 고찰 = 414
1. 머리말 = 414
2. 용례와 분석ㆍ검토 = 415
3. 맺음말 = 422
참고문헌 = 425
참고문헌 =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