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ⅶ
1부 은유이론
1장 전통적 은유관 = 3
1.1. 들머리 = 3
1.2. 전통적 은유관 = 8
1.3. 현대 철학의 은유관 = 13
1.4. 낭만주의적 은유관 = 15
1.5. Richards = 17
1.6. Black = 21
1.7. 상호작용설의 문제 = 24
2장 개념적 은유설 = 27
2.1. 이론 모형 = 27
2.2. 은유의 종류 = 34
2.3. 은유와 환유의 얽힘 = 37
2.4. 은유의 일상성 = 39
2.5. 개념적 은유설의 결함 = 41
3장 혼성이론 = 45
3.1. 이론모형 = 45
3.2. 혼성과정의 위상들과 원리들 = 53
3.3. 가상적 개체와 지시 = 56
3.4. 혼성작용의 은유화 = 58
2부 은유의 이해
1장 은유의 성질 = 65
1.1. 들머리 = 65
1.2.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특징규명 = 66
1.3. 은유의 편재성 = 70
1.3.1. 과학적 은유 = 72
1.3.2. 정치적 은유 = 77
1.3.3. 전쟁은유 = 83
1.3.4. 사회은유 = 88
1.4. 은유의 범위 = 93
2장 은유의 체계성 = 97
2.1. 은유를 체계적이게 하는 요인들 = 97
2.2. 계층구조 = 101
2.3. 총칭성 대 구체성 = 105
2.4. 주요은유 대 비주요은유(단순은유 대 복합은유) = 107
2.5. 대연쇄 = 108
3장 은유와 환유의 차이 = 113
3.1. 은유정의와 환유정의의 검토 = 113
3.2. 영역과 영역모체 개념을 이용한 은유와 환유의 차이 분석 = 121
3.3. 동일한 언어표현 내에서의 은유와 환유의 상호관계 = 123
4장 은유와 환유의 상호작용 = 129
4.1. 들머리 = 129
4.2. 상호작용을 다루기에 적절한 은유모형 = 130
4.3. 상호작용의 분류 = 133
4.3.1. 은유와 환유의 공기 = 134
4.3.2. 은유와 환유의 개념적 공기 = 137
4.3.3. 개념 수준에서의 상호작용 = 138
4.4. 혼성설적 원근법으로의 상호작용의 이해 = 144
5장 은유의 이해 = 151
5.1. 전통적 은유관의 은유이해 = 151
5.2. 개념적 은유설과 은유의 이해 = 155
5.3. 영상은유의 이해 = 158
5.4. 은유이론과 이해모형 = 160
6장 분석 = 163
6.1. 들머리 = 163
6.2. "사다"의 사상체계 = 164
6.3. 분석 = 168
6.4. 마무리 = 172
3부 은유를 넘어서
1장 은유의 진리값 = 177
1.1. 들머리 = 177
1.2. 객관적 의미론의 진리 이론과 그 문제점들 = 181
1.3. 개념적 은유이론의 진리정의 = 192
1.4. 새로운 진리정의의 모색 = 199
2장 은유와 언어학 = 205
2.1. 들머리 = 205
2.2. 다의성 = 210
2.2.1. out = 221
2.2.2. may = 225
2.3. 신체적 경험 = 226
2.4. 형태부 = 229
2.5. -ed = 232
2.6. 문법이론화에서의 은유의 역할 = 234
2.6.1. Chomsky 모형과 은유 = 234
2.6.2. 인지문법 모형과 은유 = 237
3장 은유와 문학 = 245
3.1. 들머리 = 245
3.2. 은유의 문체적 표현 방식 = 249
3.3. 문학에서의 은유의 기능 = 255
3.4. 은유의 일관성 부여 = 260
3.5. "사랑"의 범주화 = 273
4장 은유와 문화 = 283
4.1. 은유와 문화 = 283
4.2. 은유의 문화적 변이형 = 288
참고문헌 = 295
찾아보기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