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 7

제1부 이론적 틀을 갖추기 위해 = 19
제1장 서론 = 21
1.1. 문제 제기 = 21
1.2. 연구 목적과 의의 = 28
1.3. 연구 대상 = 34
1.4. 선행 연구 검토 = 36
1.4.1. 문장의미에 대한 주요 관점 = 36
1.4.2. 문장의미에 대한 주요 국내 논의 = 39
1.4.3. 합성성 원리의 한계 = 42
1.5. 연구 방법 = 49


제2부 사건 =53
제2장 문장의미로서의 사건 설정 = 55
2.1. 사건의 본질 = 55
2.1.1. 주요한 사건 존재론 = 56
2.1.2. 문장의미 차원에서 본 사건의 본질 = 61
2.2 사건 논항의 설정 = 64
2.2.1. 기존 연구의 논거 = 65
2.2.2. 새로운 증거들 = 78
2.3. 사건의 구조적 실현 = 85
2.3.1. 사건-구(Event Phrase, EP)의 설정 = 88
2.3.2. 상적-구(Aspect Phrase, AspP)의 설정 = 96
2.4. 사건의 실제적 적용과 분석 - 반복 사건 표현을 중심으로 = 116
2.4.1. 사건 반복의 개념과 기준 = 117
2.4.2. 사건 반복을 나타내는 주요 요소 = 129
2.4.3. 사건 반복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 138
2.5. 사건의 구성과 의미 역할 - ''놀다''가 실현된 문장에서 방식(manner)의 의미 역할에 대하여 = 148
2.5.1. 문제 제기 = 148
2.5.2. 방식의 의미 실현 성분 = 151
2.5.3. 요약 및 정리 = 171
2.6. 사건과 상태 = 172

제3장 서술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175
3.1. 동작류에 대한 기존 논의 분석 = 176
3.1.1. 서술어구의 상적 분류 = 178
3.1.2. 상적 추이(Aspect Shift), 혹은 강제(Coercion) = 181
3.1.3. 의사-이중 술어(擬似-二重 述語) = 183
3.2. 사건-성향 서술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186
3.2.1. 동작류로서의 특성 = 186
3.2.2. 사건 내용 점검과 상적 특성 = 189

제4장 부사어구와 문장의미 구성 = 199
4.1. ''형용사+게'' 부사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200
4.1.1. 문제 제기 = 200
4.1.2. ''형용사+게'', 사건의 방식과 결과 = 212
4.1.3. ''형용사+게''와 서술어의 관계 = 216
4.1.3. ''형용사+게''와 사건-성향, 발화상황의 관계 = 221
4.2. 시간 부사어의 문장의미 구성 = 225
4.2.1. 문제 제기 = 225
4.2.2. 앞선 연구들 = 227
4.2.3. 사건과 발화상황에 의한 시간 부사어 분류 = 232
4.2.4. 동형이의(同形異意)의 시간 부사어와 중의성 문제 = 244
4.2.5. 요약 및 정리 = 249
4.3. 기간-지속 부사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250
4.3.1. 문제 제기 = 250
4.3.2. ''동안'' 부사어구의 의미 = 254
4.3.3. ''만에'' 부사어구의 의미 = 259
4.3.4. 기간-지속 부사어구와 사건의 구성 요소의 관계 = 262
4.4. 비교 부사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265
4.4.1. 문제 제기 = 265
4.4.2. 비교 부사어구의 성상 부사적 특성 = 267
4.4.3. 비교 부사어구와 사건 구성 요소 간의 관계 = 271
4.4.4. 비교 부사어구와 사건, 발화상황의 관계 = 275
4.4.5. 요약 및 정리 = 278
4.5. 정도 부사어의 문장의미 구성 = 278
4.5.1. 문제 제기 = 278
4.5.2. 정도 부사 공기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 = 281
4.5.3. 정도 부사의 비후행 요소 공기 관계 = 283
4.5.4. 전체론적 분석에 의한 정도 부사어의 의미와 용법 = 290
4.5.5. 요약 및 정리 = 297
4.6. ''(으)로서'' 부사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298
4.6.1. 문제 제기 = 298
4.6.2. ''(으)로서''구문의 기본 문장의미 구성 = 301
4.6.3. ''(으)로서''구문의 확장 문장의미 구성 = 306
4.6.4. 요약 및 정리 = 315


제3부 발화상황 = 317
제5장 문장의미로서의 발화상황 설정 = 319
5.1. 발화상황 논항의 설정 = 320
5.1.1. 사건의미론의 한계 = 320
5.1.2. 발화상황을 논항으로 갖는 구성 요소 = 325
5.2. 발화상황과 인칭 제약 = 330
5.2.1. ''-더-''와 인칭 제약 = 330
5.2.2. 연결어미와 인칭 제약 = 336

제6장 독립어구의 문장의미 구성 = 343
6.1. 독립어에 대한 기존 논의 분석 = 345
6.1.1. 독립어의 일치ㆍ호응 = 345
6.1.2. 독립어의 위상, 하위분류 = 347
6.2. 독립어의 의미 역할 = 351
6.2.1. 느낌말, 사건과 발화상황의 관계 = 351
6.2.2. 부름말, 발화상황과의 관계 = 354
6.2.3. 이음말, 사건 간의 관계 = 356

제7장 사건 호부 평가 양태성 표현 = 359
7.1. 문제 제기 = 359
7.2. 사건 호부 평가 양태성의 개념과 기능 = 362
7.3. 사건 평가 양태성 표현의 의미 체계와 실제 = 367
7.3.1. 평가 내용과 호응하는 평가 양태성 표현 = 367
7.3.2. 평가 대상과 호응하는 평가 양태성 표현 = 371
7.4. 요약 및 정리 = 384


제4부 사건과 사건의 관계 = 387
제8장 인과 관계 형성의 인지 과정과 연결어미의 상관성 = 389
8.1. 문제 제기 = 389
8.2. 인과 관계의 성립과 연결어미 = 391
8.3. 인과 관계 연결어미의 현상적 특징 = 401
8.4. 요약 및 정리 = 413

제9장 부연의 연결 어미 ''-지''의 의미와 용법 = 415
9.1. 문제 제기 = 415
9.2. 종속적 연결어미 ''-지''의 의미 기능 = 416
9.3. ''-지''의 용법과 유형 = 422
9.3.1. ''-지'' 구문의 기본 구성 = 424
9.3.2. ''-지'' 구문의 확장 구성 = 428
9.4. 요약 및 정리 = 433


제5부 끝나지 않은 이야기 = 435


참고문헌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