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추천의 말 = 3
머리말 = 5
1. 서론 = 13
2. 동사연결 구성에 관련된 문제들 = 23
2.1. 연구의 필요성 = 23
2.2. 연구의 방법 = 38
2.3. 새로운 동사연결 구성의 인식 : ''동사결합 구성'' = 41
3. 동사연결 구성의 분석 = 71
3.1. [Ⅴ₂가 의존적인 구성] = 72
3.1.1. 유형의 분류 = 72
3.1.2. 통사적 특성 분석 = 72
3.1.2.1. Ⅰ류. 후행보조동사 구성(1) : 동사연결의 빈도가 가장 높은 무리 = 78
3.1.2.2. Ⅱ류. 후행보조동사 구성(2) : 동사연결의 빈도가 높은 무리 = 108
3.1.2.3. Ⅲ류. 유사보조동사 구성(1) : 동사연결의 빈도가 낮은 무리 = 132
3.1.2.4. Ⅳ류. 유사보조동사 구성(2) : 동사연결의 빈도가 가장 낮은 무리 = 142
3.1.3. 마무리 = 144
3.2. [Ⅴ₁이 의존적인 구성] = 149
3.2.1. 유형의 분류 = 149
3.2.2. 통사적 특성 분석 = 151
3.2.2.1. Ⅰ류. 선행보조동사 구성(1) : Ⅴ₁이 불구적인 무리 = 152
3.2.2.2. Ⅱ류. 선행보조동사 구성(2) : Ⅴ₁이 의미적으로 전이되어 쓰인 무리 = 154
3.2.2.3. Ⅲ류. 선행보조동사 구성(3) : Ⅴ₁이 의미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무리 = 159
3.2.3. 마무리 = 162
3.3. [복합적인 구성] = 164
3.3.1. 유형의 분류 = 164
3.3.2. 통사적 특성 분석 = 167
3.3.2.1. Ⅰ류. 비유동사 구성 = 168
3.3.2.2. Ⅱ류. 비합성적동사 구성 = 171
3.3.2.3. Ⅲ류. 연결제약동사 구성 = 173
3.3.2.4. Ⅳ류. 동사복합 구성 = 187
3.3.2.5. Ⅴ류. 동사결합 구성 = 196
3.3.3. 마무리 = 199
3.4. [접속구성] = 201
3.4.1. 유형의 분류 = 201
3.4.2. 통사적 특성 분석 = 203
3.4.2.1. Ⅰ류. 동일 주어, 동일 목적어를 가진 무리 = 203
3.4.2.2. Ⅱ류. 동일 주어만을 가진 무리 = 214
3.4.2.3. Ⅲ류. 다른 주어를 가진 무리 = 217
3.4.3. 마무리 = 218
3.5. 세 동사 이상의 연결 = 219
3.5.1. 통어적 구성 = 221
3.5.2. 형태적 구성 = 221
3.5.3. 혼합 구성 = 222
4. 각 무리의 다단계성의 원인 = 225
4.1. ''-어''의 문제 = 225
4.1.1. ''-어''의 단계성 = 226
4.1.2. ''-어''가 이끄는 절의 단계성 문제 = 243
4.2. 각 무리의 구조 = 257
4.2.1. 어휘적으로 생성된 것 = 259
4.2.2. [후행보조동사 구성]의 구조 = 260
4.2.3. [복합적인 구성]의 ''동사결합 구성''의 구조 = 266
4.2.4. ''일렬동사 구성''의 구조 = 270
5. 맺음말 = 273
자료 = 277
참고문헌 = 305
찾아보기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