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아직도 되찾지 못한 우리 풀꽃 이름
섬초롱꽃에는 왜 ‘다케시마’라는 말이 들어 있을까?
섬오갈피는 왜 제주오갈피가 되지 못했을까?
모윤숙이 수필에 기록한 애기산딸나무
우리 풀꽃 이름은 언제부터 좀스러워졌을까?
각시원추리의 ‘각시’는 어디서 온 말일까?
처녀치마의 오해와 진실
털여뀌의 ‘털’은 정말 털이 많아서 붙은 이름일까?
쥐보리에 붙은 ‘쥐’는 어디서 왔는가?
개나리에 붙은 ‘개’는 어디서 왔는가?
조선의 풀꽃에는 조선이란 이름이 없다
고려이륜초는 왜 쌍둥이바람꽃이 되었나?
쇠별꽃의 ‘쇠’는 무슨 뜻일까?
가는참나물에 붙은 ‘가는’은 어디서 왔는가?
좀개갓냉이에 붙은 ‘좀개’는 어디서 왔는가?
버드나무도 일본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부처가 광대가 된 까닭
돌단풍은 단풍나무와 관련 없다
구슬댕댕이의 ‘구슬’은 어디서 왔는가?
‘노루’가 들어간 이름은 어디서 왔는가?
한국은 까치 일본은 까마귀
[더 읽어보기] 일본산 금송을 항일유적지에 심는 나라

제2장 일제에 바쳐진 우리 풀꽃 이름
일본 공사 하나부사의 이름으로 불리던 금강초롱
조선 총독 데라우치에게 헌사된 사내초
서정주와 마키노국화
남산제비꽃은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통감제비꽃이었다
섬뜩한 왜장도를 번역한 칼송이풀
왜 하필 개불알꽃인가?
며느리들을 욕보이는 며느리밑씻개
애기괭이눈은 ‘히메네코노메소’다
할배수염은 어쩌다 산거울이 되었을까?
등대풀인가, 등잔풀인가?
어째서 꽃 이름이 ‘도둑놈의갈고리’일까?
상처에 바르면 출혈을 멈춘다는 피막이풀
불교를 비하하는 이름 중대가리풀
개쓴풀은 ‘이누노센부리’에서 왔다
벼룩나물인가, 벼룩이불인가?
교토 센노사에서 유래한 동자꽃
[더 읽어보기] 경복궁 안 꼴불견 노무라단풍

제3장 일제에 침탈당한 우리의 풀꽃들
우리 풀꽃에 이름을 남긴 일본인들
-한반도 고유종 62퍼센트에 이름을 올린 나카이 다케노신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 마키노 도미타로
-한반도 식물을 최초로 조사한 일본인, 우치야마 도미지로
-임업기사에서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된 이시도야 쓰토무
-조선의 식물교과서를 만든 모리 다메조
-리기다소나무를 들여온 우에키 호미키
우리 약초 이름 속에 들어 있는 일본인들
-강활 : 기타가와
-노루귀 : 나카이
-들현호색 : 나카이
-등골나물 : 기타무라
-땅두릅나물 : 기타가와
-뚜껑덩굴 : 마키노
-박하 : 하라
-벌노랑이 : 나카이
-벗풀 : 마키노
-부처꽃 : 마키노
-산국 : 마키노
-산자고 : 혼다
-이삭여뀌 : 나카이
-조개풀 : 마키노
-족도리풀 : 나카이
-쥐꼬리망초 : 혼다
-참이질풀 :나카이
-창포 : 나카이
-파대가리 : 하라
-할미꽃 : 나카이
[더 읽어보기] 가이즈카향나무에 포위된 한반도

부록
『 조선식물향명집』의 일본어 이름에 ‘탐라’와 ‘제주’가 들어 있는 것
‘섬’ 자가 들어가는 식물 가운데 나카이가 학명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 것
『 조선식물명휘』의 일본어 이름에 ‘탐라’와 ‘제주’가 들어 있는 것
일본 말 ‘히메’의 번역
『 조선식물명휘』에 나오는 ‘개’ 관련 이름
『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오는 ‘개’ 관련 이름
『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조선’을 ‘개’로 번역한 경우
『 조선식물명휘』에 나오는 ‘싸리’
『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오는 ‘싸리’ 관련 이름
『 조선식물향명집』의 일본어 이름에 ‘조선’이 들어 있는 것
『 조선식물향명집』에서 번역되지 않은 채 사라진 ‘고려’
『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오는 ‘가는’ 관련 이름
일본 말 ‘호소’가 ‘가는’으로 번역된 경우
일본 말 ‘조센’이 ‘가는’으로 번역된 경우
‘가는’이 붙은 기타 풀꽃 이름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오는 ‘며느리’ 관련 이름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이와’를 ‘돌’로 번역한 경우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오는 ‘이와’의 영향 없이 ‘돌’이 된 경우
『조선식물향명집』에 나카이의 이름으로 학명이 올라 있는 식물
『조선식물향명집』에 마키노의 이름으로 학명이 올라 있는 식물
『조선식물향명집』에 소개된 향나무
일본인이 가로챈 한반도 고유종 학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