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전래동화의 심층(深層) 의미

Ⅰ. 서론
1. 연구동기와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Ⅱ. 텍스트 분석
1. 파편화된 신체, 나르시시즘적 욕망-〈해와 달이 된 오누이〉
1.1. 텍스트 읽기
1.2. 파편화된 신체, 상상계로의 복귀-‘어머니’와 ‘젖먹이’
1.3.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호랑이 어머니’와 ‘오누이’
1.4. ‘아버지의 법’으로-‘나무’와 ‘도끼’ / ‘해’, 그리고 ‘달’
2. 환상 속의 그대, ‘대상 (a)’를 찾아서-〈나무꾼과 선녀〉(수탉 유래담)
2.1. 텍스트 읽기
2.2. 나무꾼과 사슴
1) 나무꾼
2) 사슴
2.3. ‘옷’의 정체
1) 주물숭배(呪物崇拜, Fetishism)
2) 도둑맞은 날개, 잃어버린 ‘기표’
2.4. 대상 (a)를 찾아서
3. 아버지 콤플렉스와 효녀 토템-〈심청〉
3.1. 텍스트 읽기
3.2. 심봉사
1) ‘沈봉사’, ‘心봉사’-심인성(心因性) 시각장애
2) 아버지의 부재(不在)
3.3. 심청
1) 인신공양과 효녀 토템
2) 심청 왕후와 맹인잔치
4. 주체의 분리와 재현-〈콩쥐 팥쥐〉, 〈흥부 놀부〉
4.1. 텍스트 읽기
1) 콩쥐 팥쥐
2) 흥부 놀부
4.2. 상상적 동일시와 이자 관계(dual relation)
1) ‘콩과 팥’, 혹은 ‘형제’ ‘자매’ 관계
2) 이상적 자아와 어머니
4.3. 상징적 동일시와 주체의 재현
1) ‘주체’를 형성하는 기표들
2) ‘주체’ 형성의 조건

Ⅲ. 통합 텍스트 읽기
1. 부(父)의 부재(不在)와 부정적 모성(母性)
2. 상징계 진입을 위한 시련과 희생

Ⅳ. 결론

제2부 한국 전래동화의 원형(原形)과 변용-〈콩쥐 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3. 설화의 유화(類話) 검토 및 서사구조
3.1. 유화검토
3.2. 서사구조
4. 전래동화 검토 및 특징
5. 〈콩쥐 팥쥐〉 이야기의 주요 의미와 변용의 문제점
6. 나오며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