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글쓴이 서문 13
서론 39
제1부 안성의 인쇄출판 전통
제1장 고려 말에서 조선 중기까지 67
1.1. 연구 조건과 범위 67
1.2. 여말 청룡사 간판본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69
1.3. 칠장사 소장 <천자문>과 <유합(類合)> 책판 73
1.3.1. <천자문> 책판 73
1.3.2. <유합> 책판 79
1.4. 도기서원 장본 <주자대전>과 <자치통감강목> 82
제2장 조선 후기: 안성의 역서인출(曆書印出) 전통 88
2.1. ‘방각본으로서의’ 안성판(安城版) 역서(曆書) 88
2.2. 김태영의 전언 90
2.3. 역서의 사조(私造)와 안성판 역서 100
2.3.1. 역서의 의미와 위치 101
2.3.2. 역서의 사조사인(私造私印)과 유통 103
2.3.3. 기좌리판 역서의 방각(坊刻) 117
2.4. 역서 인쇄로부터 비롯된 안성판방각본의 개판 기원 127
제3장 근대 안성의 인쇄출판과 기타 자료 130
3.1. 근대 안성의 인쇄출판 131
3.2. 기타자료 144
3.2.1. 사찬필사본: 개인문집류 144
3.2.2. 관찬필사본: 읍지류 146
3.2.3. 그밖의 자료 150
제2부 안성판방각본
제1장 방각본의 개념 155
1.1. 방각본의 말뜻 155
1.2. 방각본의 기원 162
1.3. 인출(印出) 지역과 안성판본의 의의 164
제2장 방각본 안성판본 168
2.1. 안성판본 연구 개관 168
2.2. 안성판본의 출현 170
2.2.1. 안성판본의 개판 기원에 대한 선행연구 173
2.2.2. 개판 기원의 새로운 관점: 안성판 역서의 인출 176
2.2.3. 안성판 사서삼경의 방각 문제 179
2.2.4. 정해맹동 간기본 <임장군전> 180
2.2.5. 안셩동문이신판 <춘향전> 189
2.3. 안성의 출판인들과 박성칠 195
2.4. 박성칠서점의 판권지 분석 203
2.5. 안성판본의 일반성격 210
2.6. 안성판본의 인출지(印出地)와 입지조건 220
2.6.1. 안성지역의 방각소들 220
2.6.2. 안성장시와 공장(工匠)의 역할 227
2.6.3. 인출마을의 입지 235
2.6.4. 기좌리의 한지 생산 237
제3장 ‘안셩동문이(安城東門??)’ 재고 244
3.1. 문제의 제기 244
3.1.1. 안성지역 방각소들의 상호 명명 방식 247
3.1.2. ‘동문이’=동문마을? 250
3.2. 동문마을 방각활동 기록과 증언의 부재 문제 255
3.3. “동문리 박성칠서점의 박성칠” 증언 검토 258
3.4. ‘동문이’=북촌=기좌리? 267
3.5. ‘안셩동문이 재고’에 대한 보론 269
제4장 새롭게 발굴된 안성의 방각소와 판본들 273
4.1. 광창서관(廣昌書?)과 광창서관 판 <계몽편언해> 273
4.2. 광안서관(b)과 광안서관(b) 판 <명심보감 초> 279
4.3. 문제와 과제 285
제3부 안성판방각본 판본 목록 및 서지사항
【일러두기】293
1. 동몽(童蒙) 학습서 297
천자문류| 계몽편류| 동몽선습류| 명심보감류
2. 고전소설 311
춘향전| 심청전| 홍길동전| 조웅전| 양풍운전| 적성의전|
삼국지권지삼| 임장군전| 진대방전| 제마무전| 장풍운전|
소대성전| 전(傳) 안성판 장경전| 전(傳) 안성판 수호지
3. 사서류 343
4. 기타 347
회심곡| 간독(簡牘)류
제4부 안성판방각본 영인자료
1. 가칭 ‘안성방각소’ 판 <소대성전> 359
2. 안셩동문이신판 <제마무전 / 회심곡> 370
3. 정해맹동 간기 박성칠서점 1판 <임장군전> 382
4. 안셩동문이신판 <춘향전> 395
5. 박성칠서점 2판 <조웅전> 410
6. 북촌서포 판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423
7. 박성칠서점 판 <동몽초독> 442
8. 광창서관 판 <계몽편언해> 453
9. 광안서관(a) 판 <천자문> 462
10. 광안서관(b) 판 <명심보감 초> 480
11. [사찰본< 칠장사 소장 <유합> 책판 후쇄본 489
참고문헌 509
발문을 겸한, 감사의 말 514
찾아보기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