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언어와 문장 / 21
제1장 한국어의 이해 / 23

1. 한국어의 특질 ……23
1) 음운상의 특질 -23
(1) 구개음화 -24
(2) 두음법칙 -24
(3) 모음조화 -25
(4) 자음동화 -25
(5) 말음법칙 -26
2) 어휘상의 특질 -27
(1) 위상어 -27
(2) 배의성 -27
(3) 유의어 -28
(4) 감각어 -28
(5) 다음절어 -28
(6) 동음이의어 -28
(7) 상징어 -29
3) 문법상의 특질 -29
(1) 조사 -29
(2) 어미 -34
(3) 어순 -36

2. 한국어 정서법 -40
1) 총칙 -41
2) 소리에 관한 것 -41
(1) 된소리 -41
(2) ‘ㄷ’ 소리 받침 -42
3) 형태에 관한 것 -43
(1) 체언과 조사 -43
(2) 어간과 어미 -44
4) 띄어쓰기 -47
(1) 조사의 띄어쓰기 -48
(2)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등의 띄어쓰기 -49
(3)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52
(4)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53
(5) 주의해야 할 띄어쓰기 -54

3. 문장과 표현 -56
1) 문장의 종류 -56
(1) 홑문장(單文) -56
(2) 겹문장(重文) -56
2) 문장 속의 문장 -56
(1) 안김과 안음 -56
(2) 명사절(名詞節)로 안긴 문장 -57
(3) 서술절(敍述節)로 안긴 문장 -57
(4) 관형절(冠形節)로 안긴 문장 -58
(5) 부사절(副詞節)로 안긴 문장 -58
(6) 인용절(引用節)로 안긴 문장 -58
3) 이어진 문장(接續文) -59
(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59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59
4) 문장의 골격과 형성 -60
(1) 동사문(動詞文) -60
(2) 형용사문(形容詞文) -60
(3) 명사문(名詞文) -60
5) 장문 쓰기와 단문의 효과 -60
(1) 장문 쓰기의 문제점 -60
(2) 장문(長文)을 짓지 않는 법 -62
(3) 단문의 효과 -62
6) 피동 표현 -63
7) 어휘의 구사 -64
(1) 글의 성격에 맞는 어휘의 사용 -64
(2) 비속어의 문제 -65
(3) 표준어 사용 -66
(4) 판단을 나타내는 부분의 서술 -67
(5) 적합한 어휘의 선택과 정확한 지식 -67

제2장 어휘의 이해/69

1. 어휘와 표현 -69
1) 어휘의 선택 -69
2) 단어와 어휘 -70
(1) 단어 -71
(2) 어휘 -71

2 파생어 -71
1) 접두 파생어 -72
(1) 고유어 계통 접두사+명사 어근=파생어 -72
(2) 고유어 계통 접두사+용언어근=파생어 -77
(3) 한자어 계통 접두사+명사어근=파생어 -78
2) 접미 파생어 -80
(1) 명사어근+접미사=사람을 뜻하는 명사 -80
(2) 동사화 접미사 -87
(3) 형용사화 접미사 -87
(4) 부사화 접미사 -88
(5) 관형사화와 접미사 -89
3) 한자어 접미사 -90
(1) 사람의 의미성분을 지닌 한자어 접미사 -90
(2) 직업의 의미성분을 지닌 접미사 -90

3. 합성어 -91

1) 통사적 합성어 -91
2) 비통사적 합성어 -92
(1) ‘명사어근+명사어근’의 구성; 사이시옷이 개입된 형태 -92
(2) ‘용언어근+명사어근’의 구성; 용언이 명사를 수식할 경우 -92
(3) ‘부사어근+명사어근’으로 구성된 형태 -93
(4) ‘용언어근+용언어근’으로 구성; 동사 합성어 -93
(5) ‘용언어근+용언어근’으로 구성; 형용사 합성어 -93

제3장고유어/95
1. 고유어의 특성 -95
1) 고유어와 작가 -95
2) 고유어의 특성 -96

2. 고유어와 표현 -97
1) 체언 고유어와 표현 -97
(1) 명사고유어와 표현 -97
(2) 대명사 고유어와 표현 -129
(3) 수사 고유어와 표현 -131
2) 용언 고유어와 표현 -132
(1) 동사 고유어와 표현 -132
(2) 형용사 고유어와 표현 -145
3) 수식언 고유어와 표현 -158
(1) 관형사 고유어와 표현 -158
(2) 부사 고유어와 표현 -161


제4장 한자어/169
1. 한자어와 표현 -169
1) 한자어 구조의 성격 -169
(1) 단순어 -169
(2) 합성어 -170
2) 체언 한자어와 표현 -173
(1) 명사 한자어와 표현 -173
(2) 대명사 한자어와 표현 -198
(3) 수사 한자어와 표현 -201
3) 용언 한자어와 표현 -202
(1) 동사 한자어와 표현 -202
(2) 형용사 한자어 어휘와 표현 -221
4) 수식언 한자어와 표현 -229
(1) 관형사 한자어와 표현 -229
(2) 부사 한자어와 표현 -238
제5장 관용어/247

1. 관용어 -247

1) 용언형 관용어 -248
(1) 용언형 관형어 -248
(2) 용언형 관형어의 표현 -251
2) 체언형 관용어 -254
(1) 체언형 관형어 -254
(2) 체언형 관형어의 표현 -254
3)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 -255
(1)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 -255
(2)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의 표현 -255
4)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 -256
(1)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 -256
(2)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의 표현 -257

2. 속담 -258

1) 속담 자료 -258
2) 속담과 표현 -259
(1) 한국어 속담 -259
(2) 한국어 속담의 표현 -264

3. 한자성어 -271

1) 한자성어의 의미방식상의 유형 -271
(1) 단순히 지시적인 것 -272
(2) 지시와 비유ㆍ상징이 섞인 것 -275
(3) 전체가 비유ㆍ상징적인 것 -276
(4) 의미가 유사한 것 -283
2) 한자성어와 표현 -289
(1) 2음절 및 3음절한자성어와 표현 -289
(2) 4음절 한자성어와 표현 -296

제2부 글쓰기의 방법/313
제1장 표현과 구성/315
1. 주제 -315
1) 주제의 의미 -315
(1) 주제의 설정 -315
(2) 주제문 -317
(3) 소재와 제재 -319
(4) 주제와 핵심어 -320
2) 주제의 파악 -321

2. 단락 -323
1) 단락의 개념 -323
2) 줄갈이 -324
3) 단락의 원리 -324
(1) 통일성 -324
(2) 완결성 -325
(3) 연결성 -325
(4) 강조성 -326
4) 단락의 구성 -326
(1) 단락의 구성 요소 -326
(2) 소주제문과 주제문 -327
(3) 단락을 구성하는 기본 순서 -328
(4) 단락 가르기 -328
5) 단락의 연계 -329
(1) 접속어를 사용하는 방법 -329
(2) 지시어를 사용하는 방법 -330
(3) 주요 어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331
6)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의 위치 -332
(1) 소주제문이 단락의 앞부분에 있을 때(두괄식 단락) -332
(2) 소주제문이 단락의 뒷부분에 있을 때(미괄식 단락) -333
(3) 소주제문이 단락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있을 때(양괄식 단락) -334
(4) 소주제문이 단락의 가운데 있을 때(중괄식 단락) -335
7) 단락의 종류 -336
(1) 형태로 본 단락의 종류 -337
(2) 목적과 구실로 본 단락의 종류 -340

3. 구성 -343

1) 시간적 구성 -343
2) 공간적 구성 -345
3) 단계적 구성 -347
(1) 삼단구성 -347
(2) 사단구성 -349
(3) 오단구성 -349
4) 포괄식 구성 -353
(1) 두괄식 구성 -353
(2) 미괄식 구성 -356
(3) 양괄식 구성 -359
(4) 열거식 구성 -362
(5) 점층식 구성 -363

제2장 묘사와 서사/367
1. 묘사 -367
1) 문학적 묘사 -367
2) 과학적 묘사 -369
3) 핍진성 -370
(1) 세부묘사 -371
(2) 동기부여 -372

2. 서사 -374
1) 언어적 서사와 비언어적 서사 -374
2) 서사의 요소 -381
(1) 인물 -381
(2) 사건 -393
(3) 시간 -398
3) 서사의 구성 -402
(1) 플롯 -402
(2) 플롯의 단층 -404
4) 서사의 시점 -415
(1) 일인칭 서술 -416
(2) 일인칭 관찰자 서술 -419
(3) 작가 관찰자 서술 -422
(4) 전지적 작가 서술 -424
5) 낯설게 하기 -426

제3장 설명과 논증/431
1. 설명 -431
1) 지정 -431
2) 예시 -432
3) 비교와 대조 -434
4) 분류와 구분 -435
5) 정의 -439
(1) 정의의 개념 -439
(2) 정의와 지정의 차이점 -439
(3) 정의의 구성 -439
6) 분석 -441
(1) 물리적 분석 -441
(2) 개념적 분석 -442

2. 논증 -443
1) 명제 -444
(1) 명제의 요건 -444
(2) 내용에 따른 분류 -445
2) 논거 -446
(1) 사실 논거 -446
(2) 소견 논거 -448
3) 추론 -449
(1) 연역추론 -449
(2) 귀납추론 -451
(3) 유추법 -453

제4장 학술적 글쓰기의 방법/455
1. 논문 쓰기 -455
1) 논문의 유형 -456
(1) 연구논문 -456
(2) 보고문 -456
(3) 평론 -457
2) 논문 쓰기의 절차 -457
(1) 주제의 선정 -457
(2) 1차 자료와 2차 자료 -457
(3) 자료의 채록 -458

2. 논문의 구성과 체제 -458
1) 논문의 구성 -459
(1) 서론 -459
(2) 연구 보고(본론) -459
(3) 결론 -460
(4) 참고 자료 -460
2) 논문의 체제 -460
(1) 인용법 -460
(2)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461
(3) 주석 -464

제3부 서사의 방법/473
1. 원폭피해자들의 삶과 소외의식의 형상화 -475
2. 1960∼90년대 한국 현대소설에 있어서의 환경생태 문제 -499
3.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연구 -521
4. 이기영 소설의 반봉건성과 혁명성 -545
5. 이근영 농민소설의 변모 양상 -563

참고문헌 / 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