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방언록 개관 = 9
1. 방언의 개념 = 11
2. 방언의 특성 = 15
3. 방언 연구의 의의 = 19
제2장 국어 방언학의 발달 = 21
1. 방언 연구의 흐름 : 방언 연구의 시작/연구 방법의 모색기/연구의 발전과 반성기 = 23
2. 연구 과제 : 균형적 연구/음운 부문/낱말부문/말본 부문/비교연구의 확대 = 33
3. 다른 나라 방언 연구의 시작 = 40
제3장 방언 조사 방법 = 45
1. 연구 방향 설정 : 대상 지역에 따라/연구 범위에 따라 = 47
2. 조사 방법 = 49
2.1. 조사 항목의 선정과 질문지 작성 : 조사 항목의 선정/질문지 작성/질문 방법 = 51
2.2. 조사 지점과 제보자의 선정 : 조사 지점의 선정/제보자의 선정 = 57
2.3. 면담의 진행과 전사 : 면담 진행 방법/녹음과 전사 = 60
3. 자료의 정리와 조사 보고서 작성 = 65
3.1. 자료 정리 방법 : 카드식/사전식 = 65
3.2. 조사 보고서 작성 = 69
제4장 분야별 조사 내용과 자료 해석 = 73
1. 음운 = 75
1.1. 음성의 관찰과 음소 설정 = 75
1.2. 음운 체계 수립 = 78
1.3. 음운 현상 = 81
2. 낱말 = 85
2.1. 조사 대상 낱말 나열 방법 = 85
2.2. 자료 분류 방법 = 87
3. 말본 = 89
3.1. 낱말 만들기 = 89
3.2. 준굴곡 체계 : 자리 토씨/이음 토씨/도움 토씨/부름 토씨 = 90
3.3, 굴곡 체계 : 안맺음 씨끝/맺음 씨끝 = 93
3.4. 기타 = 96
4. 이론적 접근 방법 = 96
4.1. 지리적 방법 = 97
4.2. 구조적 방법 = 98
4.3. 생성적 방법 = 100
4.4. 통계적 방법 = 102
제5장 언어지리학 = 103
1. 발생과 발생 동기 : 언어지리학의 발생/발생동기 = 105
2. 언어지도 : 진열지도/해석지도 = 108
3. 전이 : 언어 변화의 확산에 대한 가설/초점지역·잔재지역·전이지역 = 113
제6장 국어 하위 방언 구획 = 119
1. 하위 방언 구획 : 방언 구획의 기준/전국 방언 구획 = 121
2. 하위 방언의 특징 : 동북방언/서북방언/중부방언/서남방언/동남방언/제주방언 = 130
제7장 사회방언학 = 171
1. 전통방언학에 대한 비판이 대두 = 174
2. 자료 수집과 자료 처리 방법 : 자료의 대표성/자료 수집/제보자의 분류/언어적 변인 = 176
3. 언어 분화의 사회적 요인 : 사회계층/세대·연령/성별/기타 = 181
4. 사회방언학 연구의 실제 : 사회방언학 연구의 시초/국어 사회방언학 연구 = 185
제8장 방언교육 = 191
1. 방언 교육의 필요성 : 방언의 가치/지역 사회의 현실성 반영 = 193
2. 방언 교육 방법 : 방언 교육을 위한 기본 요건/방언 교육의 실제 = 195
〈지도차례〉
〔지도-1〕''가위''의 분포 = 110
〔지도-2〕''삘기''의 경상남도 분포 = 111
〔지도-3〕''목말''의 강원도 분포 = 112
〔지도-4〕전국 방언 구획Ⅰ = 128
〔지도-5〕전국 방언 구획Ⅱ = 129
〔지도-6〕함경북도 하위 방언권 = 131
〔지도-7〕함경남도 하위 방언권 = 132
〔지도-8〕평안북도 하위 방언권 = 136
〔지도-9〕평안남도 하위 방언권 = 136
〔지도-10〕황해도 하위 방언권 = 137
〔지도-11〕경기도 하위 방언권 = 142
〔지도-12〕강원도 하위 방언권 = 143
〔지도-13〕충청북도 하위 방언권 = 144
〔지도-14〕충청남도 하위 방언권 = 144
〔지도-15〕전라북도 하위 방언권 = 150
〔지도-16〕전라남도 하위 방언권 = 151
〔지도-17〕경상북도 하위 방언권 = 157
〔지도-18〕경상남도 하위 방언권 = 158
〔지도-19〕제주도 하위 방언권 = 163
〈표차례〉
〔표-1〕항목별 정리 = 66
〔표-2〕조사 지점별 정리 = 66
〔표-3〕닿소리 체계 = 78
〔표-4〕홀소리 체계 = 79
〔표-5〕방언의 홀소리 실현 정도 = 80
〔표-6〕사회 계층 r 발음 실현 정도 = 187
〈그림차례〉
〔그림-1〕초점지역 = 114
〔그림-1〕잔재지역 = 115
〔그림-1〕전이지역 = 116
참고문헌 = 199
찾아보기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