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9
1. 연구 목적 = 10
2. 연구사 = 12
3. 연구 범위 및 대상 = 18
4. 대상 자료 = 20
제2장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부정법 = 23
1. 부정사의 형태와 종류 = 24
2. 부정사의 의미와 기능 = 29
(1) ''不冬-''과 ''非冬-'', ''未冬-'' = 29
(2) ''不矢-''와 ''非矢-'', ''未矢-'' = 47
(3) ''不ハ-''과 ''未ハ-'' = 68
(4) ''未リ-'' = 85
(5) ''無(无)-, 靡-, 莫-'' = 93
(6) ''無(无)ソ-'' = 129
(7) 기타 = 126
(8) 이중 부정 = 134
제3장 조선초기 이두문의 부정법 = 141
1. 부정사의 형태와 종류 = 142
(1) ''不冬/안'' = 142
(2) ''不喩/안디'' = 144
(3) ''不得/모질'' = 144
(4) ''安徐/안서'' = 145
(5) ''無/없'' = 145
2. 부정사의 의미와 기능 = 147
(1) ''不冬'' = 147
(2) ''不喩'' = 157
(3) ''不得'' = 161
(4) ''安徐'' = 167
(5) ''無'' = 171
(6) 기타 = 175
제4장 결론 = 179
참고문헌 = 189
찾아보기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