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일러두기 = 14

제1부 총론
제1장 의미론의 형성 = 17
1. 언어학과 의미론 = 17
2. 의미론의 종류 = 18
2.1. 일반의미론 = 19
2.2. 철학적 의미론 = 20
2.3. 언어학적 의미론 = 21
3. 의미 연구의 흐름 = 22
3.1. 사적의미론 = 22
3.2. 구조의미론 = 24
3.3. 변형생성의미론 = 26
3.4. 화용론 = 27
3.5. 형식의미론 = 28
3.6. 인지의미론 = 29
4. 의미론의 연구 영역 = 31
4.1. 의미론의 연구 분야 = 31
4.2. 의미론 연구의 목표와 과제 = 32

제2장 의미와 의미 유형 = 37
1. 의미의 정의 = 37
1.1. 지시설 = 38
1.2. 개념설 = 40
1.3. 행동설 = 43
1.4. 용법설 = 45
1.5. 진리조건설 = 46
2. 의미의 유형 = 47
2.1. 개념적 의미 = 48
2.2. 내포적 의미 = 49
2.3. 사회적 의미 = 50
2.4. 감정적 의미 = 51
2.5. 반사적 의미 = 51
2.6. 배열적 의미 = 52
2.7. 주제적 의미 = 53


제2부 어휘의미론
제3장 의미장 = 59
1. 의미장에 대한 기초적 이해 = 59
1.1. 의미장의 정의 = 59
1.2. 의미장과 의미 규정 = 60
1.3. 개념장과 어휘장 = 61
2.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전개 = 61
2.1.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 = 61
2.2. 장이론의 전개 = 64
3.계열적 장이론 = 65
3.1. 트리어의 장이론 = 65
3.2. 바이스게르버의 장이론 = 70
4. 통화적 장이론 = 75
4.1. 의미장 구성 = 75
4.2. 의미장 구성의 중심 = 76
4.3. 은유 = 79
5. 어휘장과 문화 = 80
5.1. 언어상대성 가설 = 80
5.2. 어휘장의 빈자리 = 83

제4장 성분분석 = 89
1. 의미성분 = 89
2. 성분분석 이론의 성립 배경 = 90
2.1. 유럽 구조주의의 음소 분석 = 90
2.2. 미국 문화인류학의 친족어 분석 = 91
2.3. 초기 생성문법 = 92
3. 성분분석의 과정 = 94
3.1. 성분분석의 원리 = 94
3.2. 의미성분의 검증 = 97
3.3. 이원적 의미성분과 잉여규칙 = 99
4. 의미성분의 유형 = 101
4.1. 의미영역 = 101
4.2. 의미성분의 종류 = 102
5. 의미성분의 형식화 = 104
6. 성분분석의 효용성과 한계 = 107
6.1. 성분분석의 효용성 = 107
6.2. 성분분석의 한계 = 109

제5장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 = 113
1. 동의관계 = 113
1.1. 동의관계의 규정 = 113
1.2. 동의어의 생성 = 117
1.3. 동의어의 경쟁 = 122
2. 반의관계 = 126
2.1. 반의관계의 규정 = 126
2.2. 반의어의 유형 = 129
2.3. 양립불능관계 = 137
2.4. 반의관계의 복합성 = 139
3. 상하관계 = 141
3.1. 상하관계의 규정 = 141
3.2. 상의어와 하의어 = 142
3.3. 상하관계의 특성 = 144
4. 부분관계 = 145
4.1. 부분관계의 규정 = 145
4.2. 부분어와 전체어 = 146
4.3. 부분관계의 특성 = 146

제6장 다의어와 동음어 = 151
1. 다의어 = 151
1.1. 다의어의 규정 = 151
1.2. 다의어의 생성 = 153
1.3. 중심의미와 주변의미 = 158
2. 동음어 = 159
2.1. 동음어의 규정 = 159
2.2. 동음어의 유형 = 160
2.3. 동음어의 생성 = 165
2.4.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별 = 168
제7장 의미변화 = 177
1. 의미변화의 규정 = 177
2. 의미변화의 촉진 요인 = 178
3. 의미변화의 원인 = 181
3.1. 언어적 원인 = 182
3.2. 역사적 원인 = 184
3.3. 사회적 원인 = 186
3.4. 심리적 원인 = 188
3.5. 외국어의 영향 = 191
3.6.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 = 191
4. 의미변화의 분류 = 192
4.1. 명칭의 변이 = 193
4.2. 의미의 변이 = 195
4.3. 복합변화 = 197
5. 의미변화의 결과 = 197
5.1. 범위의 변화 = 198
5.2. 가치의 변화 = 200


제3부 문장의미론
제8장 문장의미론의 성격 = 207
1. 문장의미의 해석 원리 = 207
2. 문장의미와 서술어의 의미 특성 = 209
3. 문장의미의 기본 속성 = 211
4. 문장의 정보 = 215
4.1. 구정보와 신정보 = 215
4.2. 주제와 설명 = 219

제9장 문장의 동의성 = 225
1. 동의성 규정 = 225
2. 동의문의 유형 = 227
2.1. 어휘적 동의문 = 227
2.2. 구조적 동의문 = 231

제10장 문장의 중의성과 모호성 = 239
1. 중의성의 개념 = 239
2. 중의성의 유형 = 240
2.1. 어휘적 중의성 = 240
2.2. 구조적 중의성 = 242
2.3. 영향권 중의성 = 245
3. 중의성의 해소 = 247
4. 모호성 = 251
4.1. 모호성의 규정 = 251
4.2. 모호성의 유형 = 253
5. 중의성 검사 = 256

제11장 함의와 전제 = 263
1. 함의 = 263
1.1. 함의의 개념 = 263
1.2. 일방함의와 상호함의 = 265
1.3. 함의의 생성 = 266
2. 전제 = 272
2.1. 전제의 개념 = 272
2.2. 전제의 생성 = 276
2.3. 화용론적 전제 = 281


제4부 화용론
제12장 화용론의 성격 = 287
1. 화용론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 = 287
1.1. 화용론의 특성 = 287
1.2. 화용론의 역사적 배경 = 288
2. 화용론의 정의와 의미론과의 관계 = 290
2.1. 화용론의 정의 = 290
2.2. 화용론과 의미론 = 291
3. 화용론의 연구 영역 = 293
3.1. 화용론의 연구 범위 = 293
3.3. 쓰레기통 속의 화용론 = 295

제13장 직시 = 297
1. 직시의 규정 = 297
1.1. 직시의 개념 = 297
1.2. 직시표현 = 298
2. 직시의 중심 = 299
2.1. 직시의 기준점 = 299
2.2. 직시의 투사 = 300
3. 직시표현의 용법 = 301
4. ''이ㆍ그ㆍ저''에 의한 직시표현 = 303
5. 직시의 유형 = 307
5.1. 인칭 직시 = 307
5.2. 시간 직시 = 311
5.3. 장소 직시 = 315
5.4. 담화 직시 = 321
5.5. 사회 직시 = 322
6. 직시표현의 비직시적 용법 : 조응 = 325

제14장 발화행위 = 333
1. 발화행위 이론의 출발 = 333
2. 발화행위의 종류 = 334
3. 명시적 수행발화와 비명시적 수행발화 = 336
4. 적정조건 = 340
5. 간접발화행위 = 342

제15장 함축 = 347
1. 함축의 개념 = 347
2. 협력 원리와 함축의 생성 = 349
2.1. 협력 원리 = 349
2.2. 함축의 생성 = 350
2.3. 격률 울타리 = 355
3. 함축의 종류 = 357
3.1. 대화함축 = 358
3.2. 고정함축 = 361
3.3. 등급함축과 절함축 = 362
4. 대화함축의 특성 = 366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