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3
머리말 = 9
제1부 조선 전기의『소학』주석서와 번역서
15세기『소학』학습과 주석서(註釋書) = 23
1.『소학』의 구성과 주석서 = 23
2. 15세기 전반의『소학』학습서 -『소학직해(小學直解)』와『소학집성(小學集成)』 = 35
3. 새로운 주석서『소학집설(小學集說)』의 도입과 활용 = 45
『소학집성』과『소학집설』의 체재와 주석 = 56
1. 체재 구성과 특징 - 다양성과 통일성 = 56
2. 주석의 논리와 개성 - 사회정치적 견해와 학문론 = 73
16세기『소학』보급의 확대와 학습서 = 100
1.『소학』보급의 확대와 구결(口訣) 주석서 = 100
2.『소학』의 번역과 주자학 지식ㆍ문화의 확대 -『번역소학』 = 129
3.『소학』의 재번역과 표준 학습서의 정립 -『소학언해』 = 158
제2부 조선 후기『소학집주』와 소학서(小學書)
이이(李珥)의『소학집주(小學集註)』편찬과 그 특징 = 193
1.『소학집주』의 체재와 구성 = 193
2.『소학집주』의 주요 내용과 그 특징 = 204
17세기『소학집주』의 간행과 유통 = 229
1.『소학집주』의 영향과『소학』연구의 확대 - 김장생의 경우 = 229
2.『소학집주』의 간행과 수정 = 245
18세기 정부의 소학서 출간과『소학』교육 -『소학훈의』와『어제소학언해』 = 270
1.『소학훈의(小學訓義)』의 간행과 군사(君師) 정치 = 270
2.『어제소학언해』와 새로운『소학』번역 -『소학집주』기반『소학언해』의 확산 = 291
3.『소학』교육의 확대와『소학훈의』의 보강 = 326
맺음말 = 341
참고문헌 = 350
색인 = 356
간행사 = 361
펼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