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맹자라는 사람 그리고 『맹자』라는 책
중국 역사에서 『맹자』에 관한 권위 있는 저술은 후한 말기의 학자인 조기(109~201)가 쓴 『맹자장구』와 남송 때 주희(1130~1200)가 쓴 『맹자집주』를 꼽을 수 있다. 조기는 『맹자』 7편을 각각 상하로 나누어 주를 달고 『맹자장구』 14권을 저술하였고, 주자는 여러 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장구로 나누어 『맹자집주』를 저술하였다. 여기에서는 맹자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맹자』라는 책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마천의 『사기』 「맹자순경열전」, 조기의 『맹자장구』 서문에 해당하는 「제사」, 주자의 『맹자집주』 「서설」을 풀이하여 간략하게 소개한다.
제2부 『맹자』 한글 독해
『맹자』는 모두 7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편의 명칭은 글의 첫머리 두 글자 또는 세 글자를 따서 만들었다. 각 편의 제목이 체계적이거나 논리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맹자』 7편의 배열과 순서를 정할 때, 나름대로의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맹자』 7편은 조기가 각 편마다 상·하편으로 분류하여 『맹자장구』를 저술하여 주석을 한 후 총 14편이 되었다. 여기에서는 전체를 7편으로 제시하되 상·하편으로 나누지 않고 순서대로 제시한다.
제1편 양혜왕
맹자는 훌륭한 지도자의 모범으로 요임금과 순임금을 제시한다. 요임금과 순임금이 지도자로서 지닌 최고의 덕망은 사람을 사랑하는 열린 마음과 사람이 행해야 할 올바른 도리의 실천이다. 이러한 맹자의 가치기준으로 볼 때 「양혜왕」편에 등장하는 양혜왕, 제선왕, 추목공, 등문공, 노평공 등 전국시대 지도자들을 용납할 수 없었으리라. 따라서 자신의 저술인 『맹자』의 첫째 편에서 먼저 이런 정치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내용을 전진 배치하고 저술 의도를 과감하게 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혜왕」편은 모두 2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혜왕」편이라고 하여, 맹자와 양혜왕과의 대화만이 기록된 것이 결코 아니다. 오히려 다른 지도자와 만난 기록이 많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편명은 맨 앞에 나오는 글자를 따서 만들었기 때문에 ‘양혜왕’이 되었다. 2편의 1장부터 5장까지는 양혜왕, 6장은 양양왕의 이야기로 맹자가 위나라의 왕을 만나 조언한 내용이다. 7장부터 18장까지는 위나라 왕이 아니라 제나라 선왕과의 대화 내용이다.
19장은 추나라 목공과의 대화이고, 20장부터 22장은 등나라 문공과의 대화다. 마지막 23장은 노나라 평공이 등장하지만 맹자와 만나지 못했기에 대화 내용은 없다. 맹자는 그 만남을 천운으로 돌리면서 제1편을 마무리한다.
제2편 공손추
제1편 「양혜왕」에서 맹자는 양혜왕과 제선왕, 등문공 등 여러 나라의 지도자들에게 인의(仁義)에 근거한 훌륭한 정치, 이른바 왕도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권고하였다. 반면, 전국시대 유행처럼 번지던 ‘패도(覇道)’에 대해 결단코 반대하며 자신의 견해를 강조하였다. 조기의 『장구』에 의하면 인의가 마음에 뿌리를 내리고 실천력이 확보된 다음에 왕도를 제대로 실행할 수 있다.
「공손추」에는 그런 내용이 많이 담겨 있으므로 이를 제2편에 두었다고 보았다. 공손추는 맹자의 제자인데, 정치에 상당한 관심과 재능을 보였다. 이는 『논어』에서 자로가 정치에 관심이 있어 수시로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질문한 것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논어』에 「자로」라는 편명이 있듯이, 『맹자』에도 이와 비슷하게 「공손추」라는 편명을 두었다고 보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편이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닌 듯하다. 왜냐하면 편명을 만드는 관행이 대개 각 편의 맨 앞말을 따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제1편 「양혜왕」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양혜왕」편에 양나라 혜왕과의 대화만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제나라 선왕을 비롯한 다른 지도자와 대화가 훨씬 많이 나온다.
그럼에도 「양혜왕」이라고 한 것처럼, 제2편도 ‘공손추문왈(公孫丑問曰)’로 시작하므로 「공손추」라고 편명을 붙였다고 보는 것이 무난하다. 「공손추장구」로 나눌 때 상편은 9장이고 하편은 14장으로 모두 2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편 등문공
「등문공」편은 문장의 맨 앞에 ‘등문공’이 있는 것을 그대로 따서 편명으로 하였다. 조기의 『장구』에 의하면, 정치란 옛날 지도자들이 베풀었던 정치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좋다. 왜냐하면 역사상 그보다 더 아름다운 정치가 시행된 적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등나라의 지도자 문공은 이런 점을 인식하고 옛날의 정치를 그리워하고 그것을 회복하고 싶어 하였다. 따라서 맹자가 등나라 문공의 행적을 가져와서 「공손추」 다음에 배치한 것이다. 문공은 차기지도자 수업을 받으면서부터 어떻게 하면 국민들을 잘 다스릴 수 있을지 착한 정치의 실천에 대해 고민하였고, 특히 인간에 대한 예의를 생각하는 마음을 가졌다. 「등문공장구」로 나누면 상편이 5장, 하편이 10장으로 「등문공」편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편 이루
「이루」편도 문장의 앞부분의 ‘이루지명(離婁之明)’이라는 말을 그대로 따서 편명으로 하였다. 조기는 『장구』를 편집하면서 이 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예를 받드는 일을 다른 말로 설명하면 일상의 삶을 ‘밝게 만드는’ 윤활유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맹자』 전편 가운데, ‘밝게 만드는 일’에 대해서는 「이루」편이 가장 분명하게 드러냈다. 그래서 밝은 눈을 지닌 이루라는 사람의 이야기를 제3편 「등문공」에 이어서 배치한 것이다. 하지만 맹자의 편 구분이 의미상, 조기가 말한 것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듯하다. 가끔씩 좀 불분명한 측면이 있다. 「이루장구」로 나누면 상편이 28장, 하편이 33장으로, 「이루」편은 모두 6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문장들이 많이 들어 있다. 여기에서는 내용상 유사한 장은 함께 묶어서 풀이한다. 예를 들면, 5~6장, 15~16장, 18~19장, 20~23장, 24~25장, 26~28장, 36~40장, 42~45장, 46~50장, 51~52장, 53~56장, 60~61장은 유사한 내용이거나 연결해서 보아야 내용상 맥락이 분명해진다. 이렇게 통합하여 「이루장구」 상편 19장, 하편 14장으로, 「이루」편을 전체 33장으로 재편하였다. 단, 원래 장구의 표기 번호는 재편한 장 아래에 그대로 두었다
제5편 만장
「만장」편도 문장의 앞부분에 ‘만장문왈(萬章問曰)’이라는 말을 그대로 따서 편명으로 하였다. 이 편은 대부분이 맹자가 제자인 만장과 문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만장 이외의 인물과 대화한 것은 4장의 함구몽, 11장의 북궁기, 18장의 제나라 선왕 정도다. 특히 순임금의 효도를 비롯하여 옛날 훌륭한 인물들의 행실에 관한 내용이 많다. 조기는 『장구』를 편집하면서 이 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명석한 사람의 행실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사람의 행실 중에는 효보다 더 큰 것이 없다. 때문에 제4편 「이루」에 이어 이 편을 두었고, 순임금이 밭에 나가 울부짖은 것을 묻게 한 것이다. 만장이 맹자에게 순임금의 효(孝)에 대해 물은 것은 『논어』에서 안회가 인(仁)에 대해 물은 것과 같다. 그래서 그 이름으로 편명을 붙인 것이다.” 「만장장구」로 나누면 상편이 9장, 하편이 9장으로 「만장」편은 모두 1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문장들이 많이 들어 있다.
제6편 고자
「고자」편도 문장의 앞부분에 ‘고자왈(告子曰)’이라는 말을 그대로 따서 편명으로 하였다. 이 편은 고자와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쟁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흔히 말하는 성선설, 선단론(善端論)이 제시되어 있고, 아름다운 말과 명언명구, 수양과 교육을 통한 인간의 공부론도 담겨 있다. 조기는 『장구』를 편집하면서, 이 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효도의 근본은 본성과 정감에 있다. 따라서 「고자」편을 「만장」편 다음에 두어 본성과 감정을 논의한 것이다.” 이 편에서는 특히 인간의 마음과 본성, 감정 등 형이하학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문제들을 논의하고 있으므로, 정치나 제도를 논의하는 편에 비해서는 이해하는 데 까다로울 수 있다.
하지만 맹자를 심학이라고도 하듯이, 맹자의 사상에서 심성론이 매우 중함을 고려할 때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고자장구」로 나누면 상편이 20장, 하편이 16장으로 「고자」편은 모두 3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내용상 유사한 장을 과감하게 함께 묶어서 풀이한다. 예를 들면 1~4장, 5~6장, 7~8장, 9~10장, 11~14장, 15~20장, 22~23장, 24~26장, 27~29장, 30~32장, 33~36장은 유사한 내용이거나 연결해서 보아야 내용상 맥락이 분명해진다. 이렇게 통합하여 「고자장구」 상편 6장, 하편 6장으로 「고자」편을 전체 12장으로 재편하였다. 단 원래 장구의 표기 번호는 그대로 두었다.
제7편 진심
「진심」편은 맹자의 마지막 편이다. 「진심」도 문장의 앞부분에 ‘진기심자(盡其心者)’라는 말에서 ‘진심’을 두 글자를 따서 편명으로 하였다. 이 편은 인간의 품성 도야, 자질 향상 등 수양이나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많다. 그러다 보니 심오한 예지, 고매한 인격의 발로 등 수련의 극치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조기는 『장구』를 편집하면서, 이 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인간의 감정과 본성은 안에 있고 마음에 의해 주관된다. 따라서 「고자」 다음에 「진심」을 둔 것이다. 사람이 자기의 마음을 다하면, 우주 자연의 질서와 통하고, 그렇게 되면 인간의 길이 무엇인지 통달하게 된다. 따라서 『맹자』를 「진심」편으로 끝낸 것이다.” 「진심장구」는 상하를 합쳐 모두 84장인데, 맹자 전편을 통틀어 가장 많은 장이며, 그 문장이 간결하다. 짧은 구절인 만큼 명언명구가 많고 의미심장하다. 상편이 46장, 하편이 38장으로 「진심」편은 모두 8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내용상 유사한 장은 함께 묶어서 풀이한다. 예를 들면, 1~7장, 8~14장, 15~18장, 19~25장, 26~35장, 36~46장, 47~54장, 55~59장, 60~66장, 67~76장, 77~79장, 80~83장은 유사한 내용이거나 연결해서 보아야 내용상 맥락이 분명해진다. 이렇게 통합하여 「진심장구」 상편 6장, 하편 7장으로, 「진심」편을 전체 13장으로 재편하였다. 단 원래 장구의 표기 번호는 재편한 장 아래에 그대로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