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3
역자 서문 = 6
역자 일러두기 = 9
1장 서론 = 17
2장 小倉進平 약력 = 27
2.1. 경력과 업적 = 27
2.2. 근대 조선어와 小倉進平 = 37
3장 조선어 연구의 동기 = 43
3.1.「국어」의 확립기와 ''주변''의 여러 언어 = 43
3.2. 조선어 학습의 필요성 - 학무국 관료로서 = 52
3.2.1. 학무국 편집과 편수서기와 교과서 = 52
3.2.2. 3ㆍ1 독립운동 후 - 편수관으로서 = 57
4장 초기의 연구 논문 = 67
4.1. 음운론과 仙臺 방언 - 일본어의 통시적ㆍ공시적 고찰 = 68
4.2. 첫 번째 조선어론 - 음운론을 실마리로 = 73
5장 계통론의 서술 방식 = 79
5.1. 金澤庄三郞과의 거리 - 언젠가 증명될 관계 = 79
5.2. ''공통어(Gemein-sprache)''라는 것 - 공통 조어의 존재 = 85
5.3. ''교류의 장''으로서의 ''東亞'' = 89
6장「국어」보급의 논리와 ''국어 문제'' = 93
6.1. ''국어 문제''에 대한 견해 - ''內地ㆍ外地'' 일체론 = 93
6.2.「국어」보급의 원천 - ''국력'' = 99
6.3. 학습의 동기 - ''생활상의 필요'' 및 ''행복'' = 102
6.4.「국어」보급의 범위 -《エコノミスト》의 논의를 중심으로 = 105
6.5. 일본인의 외국어 학습에 대해서 = 116
7장 방언 연구가 지니는 의미 = 121
7.1. 초기 방언 연구의 의도 - 경계의 설정 = 122
7.2. 방언에 대한 관점 - 역사적 재구성을 위해 = 128
7.2.1. 방언관의 특징 = 128
7.2.2. ''신라어''와의 연결 -《鄕歌及び史讀の硏究》와 방언 조사 = 132
7.2.3. 경어(敬語)의 구성 -《朝鮮語に於ける謙讓法ㆍ尊敬法の助動詞》 = 143
7.2.4. 방언 수집이 지니는 의미 = 145
7.3. 방언 조사의 방법 = 147
7.4. ''방언 주권론(周圈論)''과 ''방언 구획론(區劃論)'' = 155
7.4.1. 근대 일본에서의 방언 서술 방식 = 155
7.4.2. 小倉進平의 경우 = 160
7.4.3. 河野六郞의 경우 = 169
8장 小倉進平과 경성제국대학 = 179
8.1. 경성제국대학 졸업생과 강의 = 179
8.2. 졸업생들의 이후 활동 = 185
8.3. ''발판ㆍ사석(捨石)''론 - 연구 성과는 환원되었는가? = 191
9장 조선어 정비 사업 = 201
9.1. 小倉進平의 경우 = 201
9.1.1. 사전 편찬 사업 = 201
9.1.2. 정서법 제정 사업의 참여 = 215
9.2.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한 움직임 = 224
9.2.1. 조선어학회의 결성과 한글 운동의 의미 = 224
9.2.2. 문자 보급 운동 = 225
9.2.3. 방언 조사의 의의와 그 방법 = 227
9.2.4. 표준어 사정에 대해서 = 240
9.2.5. 맞춤법의 통일에 대해서 = 242
9.3. 小倉進平과 조선어학회 - 접점은 있을 수 있었는가? = 246
9.3.1. 小倉進平의 표준어 인식 = 246
9.3.2. 맞춤법 통일안에 대해서 = 252
10장 지명 개칭을 둘러싼 논의 - ''대동아전쟁'' 시기의 다른 언어 인식 = 257
10.1. 외국 지명ㆍ인명의 호칭 및 표기에 관한 협의회 = 257
10.2. 小倉進平의 ''南方地名の改稱について'' = 261
11장 결론 = 267
용어 찾아보기 = 277
인명 찾아보기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