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3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1
1.1. 운서와 옥편의 역사 = 11
1.1.1. 운서와 옥편의 발생 배경 = 11
1.1.2. 중국 운서와 옥편의 역사 = 16
1.1.3. 한국 운서와 옥편의 역사 = 23
1.2. 한국 운서의 특징 = 35
1.3. 조선 후기의 시대적 특징과 운서 편찬 = 41
1.4. 한국 한자음의 연구방법 = 45

제2장 규장전운(奎章全韻) = 49
2.1. 규장전운 해제 = 49
2.1.1. 편찬자와 편찬 시기 = 49
2.1.2. 편찬 동기 = 54
2.1.3. 체재와 형식적 특징 = 61
2.1.4. 한자음의 표기 = 74
2.1.5. 한자음의 체계 = 75
2.2. 의례와 범례의 역주와 해설 = 85
2.2.1. 의례의 역주와 해설 = 85
2.2.2. 범례의 역주와 해설 = 99
2.3. 규장전운의 본문과 운모 체계 = 121
2.3.1. 한자음의 운모 체계 = 121
2.3.2. 규장전운의 각 운별 고찰 = 128
2.3.3. 근대 동음의 모음 체계와 특징 = 173
2.4. 규장전운의 성모 체계 = 183
2.4.1. 한자음의 성모 체계 = 184
2.4.2. 파열음 = 186
2.4.3. 파찰음 = 213
2.4.4. 마찰음 = 226
2.4.5. 비음 = 240
2.4.6. 유음 = 246

제3장 전운옥편(全韻玉篇) = 249
3.1. 전운옥편 해제 = 249
3.1.1. 편찬자와 편찬 시기 = 249
3.1.2. 전운옥편의 형식과 내용 = 252
3.1.3. 전운옥편의 한자음 = 257
3.2. 교정전운옥편 해제 = 265
3.2.1. 교정전운옥편의 편찬자와 편찬 시기 = 265
3.2.2. 교정전운옥편 속음의 성격 = 267
3.2.3. 속음의 유형별 고찰 = 269

제4장 결론 = 301
4.1. 규장전운의 편찬 사항 = 302
4.2. 규장전운의 특징 = 302
4.3. 규장전운의 운모 체계 = 303
4.4. 규장전운의 성모 체계 = 304
4.5. 전운옥편의 특징 = 305

참고문헌 = 307
부록 : 규장전운 수록 한자 일람 = 313
찾아보기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