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한국어 문장의 계층구조 = 13
1. 들머리 = 16
1-1. 본고의 목적 = 16
1-2. 연구의 방법과 자료 = 17
2. 언어의 단위와 법성(modality) = 18
2-1. 언어의 단위 속의 문장 = 18
2-2. 문장의 성립조건과 법성 = 19
2-3. 단어결합(연어) = 20
3. 주어와 술어 = 22
3-1. 주어의 임의성과 술어 = 22
3-2. 술어문과 비술어문 = 23
4. 문장과 절 = 25
4-1. 절 = 25
4-2. 절의 종류 = 25
4-3. 부사절(연용절 혹은 상황절) = 26
4-4. 명사절과 인용절 = 27
4-5. 병렬절(coordinate clause)의 문제 = 27
4-6. 관형절(연체절)의 특수성 = 28
4-7. 단일절과 확대절(전개절) = 30
4-8. 확대절로부터 서법(mood), 법성(modality)어형으로 = 31
5. 절의 내부구조 = 32
5-1. 종속절과 주어 = 32
5-2. 절구조와 용언 = 35
5-3. 절의 기능과 내부구조 = 37
5-4. 절과 제목어(주제어 ; 제제어) = 37
5-5. 〈대비·대조〉를 나타내는 〈-는 / -은〉과 절 = 39
5-6. 절과 문장성분 = 39
5-7. 절과 용언의 문법범주 = 43
6. 절의 계층구조 = 44
6-1. 부사절(연용절)의 계층구조 = 44
6-2. 병렬절과 포섭관계 = 47
6-3. 관형절(연체절)과 부사절(연용절)의 계층관계 = 48
6-4. 확대절을 구성하는 관형절과 부사절의 상호관계 = 49
6-5. 부사절의 다층구조(multiple structure) = 49
7. 문장 통합의 구조와 서법(mood), 법성(modality) = 51
7-1. 종합적인 형식 = 51
7-2. 분석적인 형식 = 52
7-3. 용언의 문법적인 형식의 승접순서와 계층구조 = 54
7-4. 〈과거〉접미사의 두 가지 기능 = 58
7-5. 명제, 법성(modality)과 문장구조 = 60
7-6. IN-marker와 OUT-marker = 61
8. 마무리 = 65
현대한국어의 대우법 체계 = 69
1. 들머리 = 71
2. 이론적인 제문제 = 73
2-1. 대상 언어 = 73
2-2. 화계의 체계화에 관한 제문제 = 75
3. 조사방법 = 76
3-1. 설문조사 = 76
3-2. 조사결과 = 77
4. 대우법의 체계 = 91
4-1. 회화체에서의 대우법 체계 = 91
4-2. 문장체에서의 대우법 체계 = 94
4-3. 비평서법의 체계 = 96
5. 마무리 = 100
〈하겠다〉의 연구-현대한국어의 용언의 서법(mood)형식에 대하여 = 109
1. 들어가기 = 112
2. 〈하겠다〉는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 114
3. 법성(modality)이란 무엇인가, 서법(mood)이란 무엇인가 = 123
3-1. 법성(modality)과 서법(mood) = 123
3-2. 대사태(對事態)법성과 대청자(對聽者)법성 = 126
3-3. 요소주의, 형태주의에 대하여 = 127
3-4. 의지 〓 추량 논쟁의 혼란과 법성의 두 가지 평면 = 128
4. 〈하겠다〉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 129
4-1. 용례 분석에 임하여 = 129
4-2. 거취(去就)를 말하는 문장에서의 〈하겠다〉 = 132
4-3. 처지를 말하는 문장에서의 〈하겠다〉 = 139
4-4. 평가를 말하는 문장에서의 〈하겠다〉 = 147
4-5. 귀결을 말하는 문장에서의 〈하겠다〉 = 157
4-6. 지나간 일을 상기하면서 말하는 문장에서의 〈하겠다〉 = 161
4-7. 판단을 묻는 문장과 반어에서의 〈하겠다〉 = 164
5. 〈하겠다〉를 어떻게 규정하는가 = 168
5-1. 〈하겠다〉란 어떤 것인가 = 168
5-2. 〈하겠다〉와 의지를 둘러싸고 = 173
5-3. 〈하겠다〉의 비추량성과 〈할것이다〉의 추량성 = 175
5-4. 〈하겠다〉의 문법범주를 둘러싸고 = 180
5-5. 한국어의 서법형식으로서 〈하겠다〉 = 181
6. 마무리 = 183
6-1. 요약 = 183
6-2. 남겨진 과제 = 186
현대한국어의 접속형 [-다가]형에 대하여-상(aspect)·taxis·용언분류 = 191
1. 들머리 = 194
1-1. 연구의 목적 = 194
1-2. 연구의 대상 = 194
1-3. 연구의 방법 = 195
1-4. 술어에 대하여 = 196
1-5. 선행연구에 대하여 = 197
1-6. 각 형식의 출현빈도 = 199
2. 주체와 주어 = 200
2-1. 주체와 주어의 문제 = 200
2-2. 주어의 출현 위치 = 205
2-3. 주어의 어미의 종류 = 207
3. 용언의 종류 ; 〈''하다가''용언〉과 〈''非하다가''용언〉 = 208
3-1. 용언의 종류 문제 = 208
3-2. [하다가]의 용언 = 209
3-3. [하다가]로 본 용언분류 = 212
3-4. [해다가]로 본 용언분류 = 215
4. [하다가]와 상(aspect)론 = 219
4-1. 〈''非하다가''용언〉 = 219
4-2. [하다가]·[했다가]와 상(aspect)론 = 223
4-3. 〈''非하다가''용언〉과 상(aspect)론 = 225
4-4. [하다가]와 국면동사[하기 시작하다] = 233
5. 〈''하다가''용언〉과 〈''하던''용어〉 = 235
5-1. 〈''하다가''용언〉과 〈''하던''용어〉 = 235
5-2 〈''非하다가''용언〉과 〈''非하던''용어〉 = 236
6. [하다가]의 용법과 taxis론 = 239
6-1. taxis와 접속형 = 239
6-2. [하다가]의 용법 = 240
6-3. [하다가는]의 용법 = 248
6-4. [했다가]의 용법 = 250
7. 마무리 = 254
한국어의 명사분류-어휘론·문법론을 위하여 = 259
1. 어휘체계 고찰의 이론적 기초 = 262
1-1. 어휘론의 기초는 단어이다 = 262
1-2. 단어는 의미가 된다 = 263
1-3. 단어는 언어적인 장(場)안에 있다 = 264
1-4. 언어의 기술은 확률=개연성에 귀착된다 = 266
1-5. 하나의 단어는 의미에 따라 분해하지 않고 하나의 단어 전체로서 취급한다 = 268
2. 한국어 명사의 class = 270
2-1. 명사란 무엇인가 = 270
2-2. 한국어명사의 class분류 = 271
3. 불완전명사 = 274
3-1. 불완전명사를 완전명사에서 구별짓는 기준 = 274
3-2. 불완전명사의 삼군(三群) = 274
4. 가산명사(可算名詞) = 276
4-0. 가산명사 = 276
4-1. 동물명사 = 278
4-2. 인간명사 = 279
4-3. 단체명사 = 284
4-4. 장소명사 = 285
4-5. 구체명사 = 287
4-6. 신체명사 = 290
4-7. 사항명사(事項名詞) = 290
5. 불가산명사(不可算名詞) = 292
5-0. 불가산명사 = 292
5-1. 위치명사 = 293
5-2. 시간명사 = 294
5-3. 수량명사 = 296
5-4. 물질명사 = 298
5-5. 추상명사 = 299
5-6. 성질명사 = 301
5-7. 활동명사 = 303
5-8. 영위명사(營爲名詞) = 306
5-9. 용언적(用言的)인 명사군(verbal noun) = 307
6. 명사분류의 의의 = 309
6-1. 명사분류의 gradation-matrix = 309
6-2. 명사분류의 의의 = 310
6-3. 〈사람-일-관계〉의 삼각형 = 315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란?-일본어화자의 경우 = 323
1. 들어가기 = 326
1-1. 본고의 목적 = 326
2. 대상과 종류의 문제 = 326
2-1. 교재의 대상 = 326
2-2. 교재의 종류 = 328
3. 내용의 문제 = 330
3-1. 학습단계·도달도의 획정(劃定) = 330
3-2. 문자와 발음 문제 = 331
3-3. 문법의 문제 = 334
3-4. 문법항목의 초급 학습 5단계 = 339
3-5. 어휘의 문제 = 342
3-6. 예문의 문제 = 346
3-7. 학습자의 모어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 = 349
3-8. 단원 구성의 문제 = 350
3-9. 술어(術語)와 발음 표기의 문제 = 351
4. 형식의 문제 = 354
4-1. 교재의 형식 또한 내용이다 = 354
4-2. 형식에 있어서 고려할 문제들 = 354
5. 마무리 = 358
1980년대 이후 일본에서의 현대한국어 문법론·어휘론 연구-언어사실주의의 전개 = 363
1. 들어가기-선행연구와 목록 = 366
2. 연구분야와 논저 = 366
3. 연구자의 계보와 학회 = 368
3-1. 연구자의 계보 = 369
3-2. 학회 = 371
4. 80년대-90년대의 문법 연구의 동향 = 372
4-1. 前史 = 372
4-2. 문법론의 새로운 출발 = 373
4-3. 언어사실주의적 연구의 등장 - 용언의 문법범주연구 = 373
4-4. 계량적인 방법의 도입 및 격 연구와 단어결합론 = 375
4-5. 언어사실주의와 접속형(부동사형) 및 통사론 연구 = 377
4-6. 부사와 그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 = 378
4-7. 언어사실주의와 용례 수집의 문제 - 말뭉치(corpus)를 향하여 = 379
4-8. 한일대조 문법연구 및 그 이외의 연구 = 379
5. 어휘론 연구의 동향 = 380
5-1. 어휘론 연구 = 380
5-2. 사전에 대하여 = 383
6. 마무리 = 384
6-1. 본고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분야에 대하여 = 384
6-2. 언어사실주의와 언어연구 = 384
참고문헌 = 387
색인 = 411
인명 색인 = 411
형태 색인 = 416
구문 색인 = 423
사항 색인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