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 5
제1장 이론적 배경 = 17
1.1. 이상적 인지모형 ICM = 17
1.2. 환유개념 = 18
1.2.1. 전체개념과 부분개념 간의 환유관계 = 19
1.2.2. 부분개념과 부분개념 간의 환유관계 = 28
1.3. 은유개념 = 32
제2장 관용어와 인지적 사고 = 39
2.1. 형식의미론과 관용어 = 39
2.2. 인지의미론과 관용어 = 44
제3장 환유적 언어사용 = 49
3.1. [부분개념으로 전체개념을 대신함] : [사물의 부분으로 전체사물을 대신함] = 50
3.1.1. 얼굴 = 51
3.1.2. 운 = 53
3.1.3. 손 = 56
3.1.4. 피 = 58
3.2. [전체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 = 61
3.2.1. 얼굴 = 61
3.2.2. 눈 = 64
1)〔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관심은 보는 것〕 = 65
2)〔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앎은 보는 것〕 = 65
3)〔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판단은 보는 것〕 = 66
4)〔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관계는 보는 것〕 = 67
5)〔전체사물로 그 사물의 부분을 대신함〕+〔상상은 보는 것〕 = 67
3.3. [전체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범주로 정의 속성을 대신함] = 69
3.3.1. 얼굴 = 71
1)〔얼굴로 외형적 속성을 대신함〕 = 73
2)〔얼굴로 사회적 속성을 대신함〕 = 74
3)〔얼굴로 내면적 속성을 대신함〕 = 79
3.3.2. 피 = 81
1)〔피로 혈연/혈통을 대신함〕 = 83
2)〔피로 살육/죽음을 대신함〕 = 85
3)〔피로 유전적 형질을 대신함〕 = 88
4)〔피로 정/감정을 대신함〕 = 89
3.4. [부분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결과로 원인을 대신함] = 92
3.4.1. 얼굴 = 94
1)〔얼굴의 열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94
2)〔얼굴색으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95
3)〔얼굴피부두께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97
4)〔얼굴색으로 신체상태를 대신함〕 = 98
5)〔얼굴모습으로 처지/신체상태를 대신함〕 = 99
6)〔얼굴표정으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00
3.4.2. 눈 = 103
1)〔눈의 상태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03
2)〔눈의 상태로 신체상태를 대신함〕 = 106
3)〔눈의 상태로 정신상태를 대신함〕 = 109
3.4.3. 손 : [손의 상태로 마음상태를 대신함] = 110
3.4.4. 피 = 112
1)〔피의 상태로 신체상태를 대신함〕 = 113
2)〔피의 상태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14
3.4.5. 빨간색 = 115
1)〔빨간색의 신체증상으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15
2)〔빨간색의 신체증상으로 신체상태를 대신함〕 = 121
3.5. [부분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도구로 행위를 대신함] = 126
3.5.1. 눈 = 127
1)〔눈으로 요구행위를 대신함〕 = 127
2)〔눈으로 묵과행위를 대신함〕 = 129
3)〔눈으로 잠자는 행위를 대신함〕 = 130
3.5.2. 손 = 131
1)〔손으로 활동을 대신함〕 = 131
2)〔손으로 노동을 대신함〕 = 133
3)〔손으로 일처리행위를 대신함〕 = 139
4)〔손으로 도움행위를 대신함〕 = 141
5)〔손으로 권력행사를 대신함〕 = 143
6)〔손으로 약속행위를 대신함〕 = 144
7)〔손으로 화해행위를 대신함〕 = 146
8)〔손으로 청혼/결혼허락행위를 대신함〕 = 147
9)〔손으로 위협행위를 대신함〕 = 148
10)〔손으로 기회쟁취행위를 대신함〕 = 149
11)〔손으로 요구행위를 대신함〕 = 150
12)〔손으로 거절/저항행위를 대신함〕 = 151
13)〔손으로 결의/결심행위를 대신함〕 = 152
14)〔손으로 신임행위를 대신함〕 = 153
15)〔손으로 자살/살해행위를 대신함〕 = 154
16)〔손으로 폭력행위를 대신함〕 = 155
17)〔손으로 절도행위를 대신함〕 = 157
18)〔손으로 방해행위를 대신함〕 = 158
19)〔손으로 가해/매수행위를 대신함〕 = 159
20)〔손으로 용서/아부행위를 대신함〕 = 160
21)〔손으로 의사소통행위를 대신함〕 = 160
22)〔손으로 훈계행위를 대신함〕 = 161
23)〔손으로 찬성행위를 대신함〕 = 162
24)〔손으로 셈하는 행위를 대신함〕 = 163
25)〔손으로 정체파악행위를 대신함〕 = 164
26)〔손으로 항복행위를 대신함〕 = 165
27)〔손으로 관계행위를 대신함〕 = 166
28)〔손으로 보호행위를 대신함〕 = 169
29)〔손으로 판매행위를 대신함〕 = 170
30)〔손으로 비난행위를 대신함〕 = 170
31)〔손으로 판단행위를 대신함〕 = 171
3.6. [부분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도구로 상태를 대신함] = 173
3.6.1. 눈 = 173
1)〔눈으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74
2)〔눈으로 신체상태를 대신함〕 = 175
3)〔눈으로 정신상태를 대신함〕 = 176
3.6.2. 손 : [손으로 감정상태를 대신함] = 177
3.7. [부분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도구로 시간을 대신함] : [눈으로 시간을 대신함] = 179
3.8. [부분개념으로 부분개념을 대신함] : [소유물로 소유물을 대신함] = 180
1)〔피로 재물/노동력을 대신함〕 = 182
2)〔피로 지식을 대신함〕 = 183
제4장 은유적 언어사용 = 185
4.1. 개념구조에 의거한 은유적 언어사용 = 185
4.1.1. 눈 = 186
1)〔앎/이해는 보는 것〕 = 190
2)〔관심은 보는 것〕 = 192
3)〔생각은 보는 것〕 = 193
4)〔판단은 보는 것〕 = 194
5)〔감정은 보는 것〕 = 197
6)〔행동은 보는 것〕 = 198
7)〔기본적인 것은 보는 것〕 = 199
4.1.2. 피 = 199
1)〔감정상태는 피의 열〕 = 200
2)〔감정상태는 피의 비정상상태〕 = 201
3)〔강조는 피〕 = 204
4)〔부정적인 것은 피〕 = 206
5)〔결의는 피〕 = 208
4.1.3. 빨간색 = 209
1)〔사회주의는 빨간색〕 = 210
2)〔불은 빨간색〕 = 212
3)〔부정적인 것은 빨간색〕 = 213
4)〔긍정적인 것은 빨간색〕 = 218
5)〔여자는 빨간색〕 = 221
6)〔강조는 빨간색〕 = 222
4.2. 용기은유에 의거한 은유적 언어사용 = 226
4.2.1. 눈 = 226
1)〔눈은 용기〕 = 226
2)〔앎/이해는 보는 것〕+〔눈은 용기〕 = 229
3)〔관심은 보는 것〕+〔눈은 용기〕 = 230
4)〔생각은 보는 것〕+〔눈은 용기〕 = 231
5)〔감정은 보는 것〕+〔눈은 용기〕 = 232
4.2.2. 손 = 236
1)〔손은 용기〕 = 236
2)〔손으로 권한행사를 대신함〕+〔손은 용기〕 = 240
3)〔손으로 관계행위를 대신함〕+〔손은 용기〕 = 244
4)〔손으로 보호행위를 대신함〕+〔손은 용기〕 = 244
제5장 마무리 = 247
참고문헌 = 249
찾아보기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