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우리 언어ㆍ문화의 기층 산책 = 19
Ⅰ. 전달의 매체, 말의 세계 = 21
언어의 마술 = 23
담바구 타령 = 26
버들버들 우물우물 꽃꽃 = 29
향기로운 말소리 = 32
말장난과 수수께끼 = 35
언어생활의 윤리 = 38
어원 연구의 처녀림 = 41
파자(破字)의 실체 = 44
무지갯빛 꿈 = 47
필요 없는 유의어(類義語) = 50
표어(標語)의 사회성 = 53
표준어와 공통어 = 56
교과서의 시(詩) = 59
방송언어의 역기능 = 61
조선공사삼일 = 63
Ⅱ. 우리말과 글 주변 = 65
자랑스러운 우리말과 우리 글 = 67
언어와 문자 = 67
자랑스러운 우리말 = 68
자랑스러운 우리 글자 = 76
언어ㆍ문자에 대한 사명 = 79
훈민정음의 창제와 그 주변 이야기 = 81
한글 창제의 동기 = 81
자랑스러운 우리 문자, 한글 = 83
한글 창제의 배경 = 85
우리 국자의 이름 = 87
바른 언어생활과 문화민족 = 91
청각문화의 보고, 우리말 = 98
사회 방언의 이해 = 102
문법도 실용의 규범이다 = 104
방송언어의 공공성 향상에 대하여 = 108
글머리에 = 108
방송언어의 공공성을 위한 전제 = 109
맺으며 = 114
일제(日製) 한자어에 대한 무지와 우리말 순화 = 115
영어 공용어론에 반대한다 = 117
글머리에 = 117
영어 공용화 반대의 이유 = 118
제2부 우리 문학의 둘레길 산책 = 125
Ⅰ. 고전 속의 해학과 풍자 = 127
춘향전의 익살과 풍자 = 129
머리에 = 129
해학(諧謔)과 풍자적 표현 = 130
맺는 말 = 145
희극적 해학 소설, 흥부전 = 147
머리에 = 147
박 타는 과정 속의 해학 = 148
인물과 배경에 대한 해학적 표현 = 157
맺으며 = 164
풍자와 해학의 소설, 배비장전 = 165
머리말 = 165
풍자와 해학의 표현 = 166
맺으며 = 171
성으로 포장된 유랑민의 애환, 변강쇠전 = 172
글머리에 = 172
해학과 골계의 표현 = 173
맺으며 = 178
현실세계를 풍자한 연암의 단편소설들 = 179
글머리에 = 179
현실 풍자와 개혁에 대한 소망 = 180
맺으며 = 184
애정과 이별의 한을 토로하는 고려속요 = 185
글머리에 = 185
삭일 길 없는 한의 노래 - 청산별곡 = 186
육체적 사랑에의 탐닉 - 쌍화점 = 191
맺으며 = 196
기녀의 시조와 사랑의 운치 = 197
글머리에 = 197
시조에 의한 사랑의 응수 = 198
마무리 = 202
Ⅱ. 선인들의 발상과 표현 = 203
미처 못 챙긴 작품 속의 인물들 = 205
남자들이 추구한 여인과 풍류 = 206
착하기만 하고 무능한 흥부 = 207
철없고 건방진 이 도령 = 209
수다스럽고 매서운 성격의 춘향 = 211
한국 소설의 안면 묘사 = 214
부실한 고전소설의 안면 묘사 = 215
단편소설의 다양한 안면 묘사 = 218
현대 장편소설의 안면 묘사 = 221
''문장''지 소재 "古本春香傳"의 재발견 - 춘향전의 표현과 문체의 혁신 = 223
서언 = 223
문장본 春香傳의 표현 특성 = 224
문장본의 문체 혁신의 실제 = 227
결어 = 231
고유한 수사 "곁말"의 세계 = 234
곁말의 개념과 성격 = 234
곁말 사용의 실상과 효용 = 237
곁말의 가치와 활성화 = 243
풍자와 운율의 멋을 지닌 민요 = 245
서언 = 245
빗댄 표현의 결말 = 245
동음어의 어희(語戲) = 248
결어 = 250
제3부 우리 문화의 내면 산책 = 253
Ⅰ. 언어생활과 문화 주변 = 255
한국 문화의 바탕, 큰절 = 257
인사와 절 = 257
큰절과 전통문화 = 259
예는 형식보다 정신 = 261
추억 속의 민속, 불꽃놀이 = 263
한ㆍ중ㆍ일의 세시풍속 ''설'' 문화 = 265
우리의 전통적 언어생활 문화 = 271
말을 삼가는 언어문화다 = 272
언행일치의 언어문화다 = 272
높은 맥락의 언어문화다 = 273
서열사회의 언어문화다 = 275
남을 배려하는 언어문화다 = 275
선택적으로 착실히 듣는 언어문화다 = 276
방송언어와 대중문화 = 278
방송과 대중문화와의 관계 = 278
방송언어의 특성과 실태 = 279
대중문화의 발전과 방송언어 순화 = 281
방송인을 위한 방송언어론 = 283
글머리에 = 283
방송언어의 성격과 방송인의 방송언어 = 285
맺음말 = 290
한국 속담, 어떤 속담인가? = 291
글머리에 = 291
한국 속담의 일반적 특성 = 292
한국 속담의 고유한 특성 = 303
맺는 말 = 308
속담에 반영된 딸과 며느리 = 310
서언 = 310
''딸''과 관련된 속담 = 311
''며느리''와 관련된 속담 = 314
인사와 커뮤니케이션 문화 = 317
''인사''라는 말의 명명과 정의 = 317
인사의 성격과 커뮤니케이션 = 320
인사말의 표현 구조 = 323
비언어행동의 인사 = 328
Ⅱ. 언어의 배경으로서의 문화 = 333
인사(人事)ㆍ예(禮), 그리고 아이사쓰(埃拶) = 335
처녀와 총각의 청년 = 339
상아탑과 밀월, 그리고 월하노인 = 343
하마평ㆍ등룡문, 그리고 좌천 = 347
경제와 관련된 어휘들 = 351
''사쿠라''와 ''십팔번''에서 ''가모''까지 = 355
권모술수와 표변의 시대 = 359
나이를 이르는 말들 = 363
세배, 그리고 명함(名銜) = 367
Ⅲ. 언어에 반영된 우리 문화 = 371
추위 관련 언어 문화 = 373
글머리에 = 373
사명당 사첫방(四溟堂 下處房) = 374
삼청냉돌(三廳冷堗) = 376
손돌이추위 = 376
두루마기와 도포 = 377
언어에 반영된 가족관 = 380
''남(南)''은 ''앞'', ''북(北)''은 ''뒤'' = 380
''어이''와 ''어버이'' = 381
부모와 자녀 = 382
''지아비''와 ''지어미'' = 383
인륜지대사 ''혼인'' 주변 = 387
혼인은 인륜대자야(人倫大者也) = 387
''장가들다''와 ''시집가다'' = 389
''어르다-얼이다'' 계통의 말 = 390
''구메혼인''과 ''치마양반'' = 391
여인과 몇 가지 음식 = 394
"녹의홍상"과 "녹의황상" = 394
김치와 지(菹) = 396
"동동주"와 "고주묵술" = 398
"물 건너는 중" = 399
보쌈과 남녀관계 = 401
오쟁이지다(負空石) = 402
과부 보쌈과 총각 보쌈 = 403
동상전에 들어갔나? = 405
왁대값, 해웃값, 그리고 젓가락돈 = 406
몇 가지 우리말의 명명 문화 = 408
"입다"와 "쇠"에 반영된 문화 = 408
"말머리 아이"의 유래 = 410
"사복개천"과 "일진회 맥고모자" = 411
"철옹성"과 "금성탕지(金城湯池)" = 412
제4부 우리 언어문화 교육, 미래로의 산책 = 415
Ⅰ. 언어와 문화의 교육 = 417
그간 소홀했던 언어문화 교육 = 419
우리 언어현실과 21세기의 좌표 = 421
언어의 현실과 효과적 사용 = 422
남북한의 언어 통일 = 426
한국어의 국제화와 현대화 = 427
바람직한 오늘의 호칭어 = 429
서언 = 429
친인척간의 호칭 = 430
일반호칭 = 436
결어 = 438
국어순화를 다시 생각한다 = 439
국어순화의 의미와 필요성 = 439
각국의 국어순화 정책 = 440
국어순화의 범위와 방법 = 445
결어 - 순화의 방향 = 448
변화의 물결과 한자교육 = 450
고속 정보화시대의 국어 진흥책 = 454
Ⅱ.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교류 = 457
한국어교육과 함께 문화교육을 = 459
한국어 교수법의 장단점 = 461
교수법 발전의 약사 = 461
교수법의 장단점 = 462
한국어와 태권도의 궁합 = 469
문화와 언어문화 교육, 그리고 국제교류 = 473
언어문화 국제교류에 선행되어야 할 것들 = 478
다문화가정의 한국어교육 = 481
서언 = 481
이주 여성의 한국어 실태 = 482
이주 여성의 한국어교육 내용 = 484
한국어 교수의 방법 = 487
한국어교육과 교원 양성 = 489
비언어행동과 커뮤니케이션과 교육 = 491
[부록] 저자의 논저 목록 = 493
사항색인 =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