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1 숙어의 연구 목적과 대상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대상 = 4
2 숙어의 언어학적 특성 = 9
2.1. 숙어의 통사적 특성 = 9
2.1.1. 숙어의 수식 관계 = 10
2.1.2. 숙어의 피동 = 13
2.1.3. 숙어의 사동 = 16
2.1.4. 숙어의 부정 = 18
2.1.5. 숙어의 높임법 = 20
2.1.6. 숙어의 의존성 = 22
2.1.7. 숙어와 격중출 구문 = 23
2.2 숙어의 의미적 특성 = 25
2.2.1. 숙어와 비유 = 25
2.2.2. 숙어의 중의성 = 27
2.2.3. 숙어의 비합성성 = 30
2.2.4. 숙어의 완곡성 = 31
2.2.5. 숙어의 동의 관계 = 35
2.2.6. 숙어의 반의 관계 = 37
3 숙어의 계량적 특성 = 41
3.1. 숙어 항목의 특성 = 45
3.1.1. 숙어의 기능과 연접 범주 관계 = 45
3.1.2. 숙어의 의미 유형 = 47
3.1.3. 숙어의 사용 영역 = 50
3.1.4. 숙어와 합성어 = 55
3.2. 숙어 구성 어휘의 특성 = 58
3.2.1. 숙어 구성 어휘의 인접성 = 58
3.2.2. 숙어 구성 어휘의 어종별 분포 = 60
3.2.3. 숙어 구성 어휘의 빈도와 어순 = 62
3.3. 숙어 주석 말뭉치의 분석 = 65
3.3.1. 숙어 주석 말뭉치의 구축 = 62
3.3.2. 숙어 주석 말뭉치의 통계 = 76
3.3.3. 숙어의 장르별 분포 = 86
4 숙어의 번역 = 89
4.1. 번역 단위로서의 숙어 = 89
4.2. 번역을 통한 숙어의 정보성 변화 = 92
4.2.1. 숙어의 정보성 유지 = 94
4.2.2. 숙어의 정보성 변화 = 95
5 숙어의 사전적 기술 = 105
5.1. 기존 사전의 숙어 기술 = 107
5.1.1. 거시 구조 = 107
5.1.2. 미시 구조 = 118
5.2. 전자 사전의 숙어 기술 = 135
5.2.1. 기존 언어 정보의 활용 = 135
5.2.2. 숙어 전자 사전 기술 모형 = 140
6 숙어의 언어 공학적 처리 = 153
6.1. 숙어의 중의성 해소 = 153
6.2. 숙어와 다어절 변환 단위(HWTU) = 158
6.3. 숙어의 인식 = 163
6.3.1. 숙어 인식 목록 = 163
6.3.2. 숙어 인식 기제 = 166
6.3.3. 숙어 인식 알고리즘 = 176
6.4. 숙어의 기계 번역 = 182
6.5. 국제 표준의 숙어 처리 = 189
6.5.1. 숙어와 어휘 마크업 프레임워크 표준 = 189
6.5.2. 숙어와 단어 분할 표준 = 195
7 맺음말 = 198
참고문헌 = 201
부록1: 숙어 주석 말뭉치 구성 텍스트 목록 = 208
부록2: 숙어 정보 자료 = 214
찾아보기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