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 서론 = 11
2. 중세국어 텍스트 연구의 논의 = 16
2.1. 텍스트 언어학 이론과 텍스트생산자 화법 = 16
2.2. 텍스트 분석의 방법과 원리 = 23
2.3. 문화적 관점에서의 텍스트생산자 화법 = 32
2.4. 텍스트생산자 화법의 대우법 = 35
2.5. 텍스트 분석의 방법과 문제 = 45
3. [석보상절] 권 6의 텍스트 비교 분석 = 49
3.1. [라후라 출가 이야기] = 49
3.1.1. [금석물어집]과 [석가보]의 텍스트 비교 = 49
3.1.2. 화제와 화제 단락 = 51
3.1.3. 어휘의 등가성 = 56
3.1.4. 설화 동사의 호응 관계 = 58
3.1.5. 텍스트생산자 화법의 대우법 = 59
3.1.6. 텍스트의 통합 구조 = 66
3.2. [바라문 가섭의 이야기] 텍스트 비교 분석 = 68
3.2.1. 텍스트 비교 = 68
3.2.2. 텍스트 표현 비교 = 70
3.2.3. 명칭 어휘의 등가성 = 75
3.2.4. 텍스트생산자 화법의 대우법과 설화 동사 = 78
3.2.5. 통합 구조 = 80
3.2.6. 텍스트 비교 분석 = 81
3.3. [수달과 기원정사 이야기] = 82
3.3.1. 텍스트 [석가보]와 비교 = 82
3.3.2. 화제와 화제 단락 = 89
3.3.3. 어휘의 등가성 = 96
3.3.4. 텍스트생산자 화법의 대우법 = 100
3.3.5. 통합 구조 = 117
3.4. [승만경과 그밖의 이야기] = 119
3.4.1. 화제와 화제 단락의 응집 = 119
3.4.2. 설화 동사의 호응 관계 = 122
3.4.3. 어휘의 등가성 = 125
3.4.4. 텍스트생산자 화법의 대우법 = 126
3.4.5. 통합 구조 = 129
3.5. [석보상절] 권 6의 전체 텍스트 구조 분석 = 131
3.5.1. 텍스트생산자 표현 동사의 호응 관계 = 134
3.5.2. 어휘의 등가성 = 137
3.5.3. 텍스트 통합 구조 = 141
4. [석보상절] 권 6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비교 분석 = 145
4.1. 라후라 출가 이야기 = 145
4.2. 가섭 출가 이야기 = 151
4.3. 기원정사 이야기 = 152
4.4. 승만경과 그밖의 이야기 = 163
4.5. 텍스트 비교 결과 = 165
5. [석보상절] 권 13과 [법화경언해]의 텍스트 비교 분석 = 167
5.1. 자료 텍스트와 생산자에 대하여 = 167
5.2. 생산자의 어휘 표현 비교 = 169
5.3. 장면 전환 표현의 응집 비교 = 181
5.4. 텍스트 분석 비교 = 185
6. 운문 자료의 텍스트 분석 = 187
6.1. 운문 자료의 특징 = 187
6.2. [용비어천가]의 텍스트 분석 = 191
6.3. [용비어천가]의 악보 형식 = 196
6.3.1. [용비어천가]와 악보 형식 = 196
6.3.2. [용비어천가] 창제 당시의 음악 정책 = 198
6.3.3. 정간보와 박자의 상관성 = 199
6.4. [취풍형]으로 살펴 본 [용비어천가] = 203
6.4.1. [취풍형]의 악보와 가사 분석 = 203
6.4.2. [취풍형]이 [용비어천가]의 종결 형태에 미치는 영향 = 205
6.4.3. [취풍형]과 [용비어천가] 가사 구조 대비 = 212
6.4.4. 운문 텍스트의 ''-니 / -리''형에 대한 재검토 = 219
6.5. [치화평 상]에 나타난 [용비어천가] 텍스트 분석 = 220
6.5.1. [치화평 상]에 나타난 [용비어천가]의 종결 구조 분석 = 221
6.5.2. 음악적 분류에 따른 [치화평 상]의 일반 형식(3장-124장)의 종결 구조 = 224
6.5.3. 음악적 분류에 따른 1·2·125장의 종결 구조 = 231
6.5.4. 대우의 불일치와 그에 따른 악보의 종결 구조 = 234
6.5.5. [치화평 상]의 텍스트 비교 분석 = 240
7. 결론 = 244
참고문헌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