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 중세국어와 현대 방언의 성조
제4장중세국어의 성조
4.1. 음고 체계
4.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4.2.1. 저조형, 고조형, 상승조형
4.2.2. 성조형 실현 규칙과 문법 형태소의 성조
4.2.3. 저승조형(/LnRX0/)의 가능성
4.2.4. 복수 성조형 어간
4.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4.3.1. 중세국어의 두 단계 성조론적 과정
4.3.2. 성조형 변동
4.4. 중세국어 성조의 성격
제5장경상방언의 성조
5.1. 음고 체계
5.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5.2.1. 고조형
5.2.2. 저조형
5.2.3. 상승조형과 최저조형
5.2.4. 경상방언의 성조형 실현 규칙
5.2.5. 복수 성조형 어간
5.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5.3.1. 성조형 중화
5.3.2. 성조형 대치
5.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탈락 및 축약
5.4. 서남부 경상방언의 음고 조정
5.4.1. ‘안+후속 성분’과 ‘의문사+후속 성분’
5.4.2. ‘Hn’-형 뒤 [L1HL]-형 되기
제6장함경방언의 성조
6.1. 음고 체계
6.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6.2.1. 저조형
6.2.2. 고조형
6.2.3. 일부 지역어의 상승조형
6.2.4. 복수 성조형 어간
6.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6.3.1. 성조형 중화
6.3.2. 성조형 대치
6.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변화
제7장강원 영동방언의 성조
7.1. 음고 체계
7.2. 성조형과 그 실현 과정
7.2.1. 삼척방언의 성조형과 성조형 실현 규칙
7.2.2. 강릉방언의 성조형과 성조형 실현 규칙
7.3. 성조형 결합의 과정과 성조형 변동
7.3.1. 성조형 중화
7.3.2 성조형 대치
7.3.3. 음운 변동과 음고의 탈락 및 축약
제3부 ? 대응 관계와 형태 부류 기반의 국어 성조 체계
제8장성조 대응 관계의 의미와 실상
8.1. 대응 관계의 의미와 성조형 부류 표상
8.2. 성조형 대응 관계의 실상
8.2.1. 체언의 대응 관계
8.2.2. 용언 어간의 대응 관계
8.3. 대응하지 않는 부류의 의의
제9장형태 부류 기반의 국어 성조 체계
9.1. 형태소 성조형 부류
9.2. 성조론적 과정
9.2.1. 성조형 중화
9.2.2. 성조형 대치
제4부 ? 국어 성조의 역사와 성조 연구의 역사
제10장국어 성조의 변천과 변화
10.1. 중세국어 성조의 비음운화 과정
10.1.1. 어말 평성화와 성조형 실현 규칙의 임의화
10.1.2. 성조형 실현 규칙 임의화의 의미
10.1.3. 16세기 말엽의 성조 체계와 이후의 변천
10.2. 방언 성조의 변화 및 분화 양상
10.2.1. 중세국어로부터의 변천을 설명하는 관점들
10.2.2. 성조형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본 방언 성조의변천 과정
10.2.3. 방언 성조의 변화 양상과 방향
제11장국어 성조 연구의 성과와 논점
11.1. 성조 연구의 주요 성과
11.2. 주요 논점과 주제
11.3. 주제별 논점 및 연구 성과
11.3.1. 형태소 성조형과 기저 성조형
11.3.2. 경상방언의 하강조
11.3.3. ‘율동 규칙’의 실체
11.3.4. 분절음과 성조의 관계
11.3.5. 15세기 이전의 성조
11.3.6. 한자음의 성조
11.3.7. 외래어의 성조
11.3.8. 성조와 방언 구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