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훈고와 훈고학
一. 훈고란 무엇인가?
二. 훈고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훈고학의 내용
一. 사(詞)와 구(句)의 해석
二. 고(古書)의 이례(異例) 분석

제3장| 훈고학의 역할0
一. 어문 교육을 지도하다
二. 고적 정리를 지도하다
三. 사서 편찬을 지도하다

제4장| 훈고의 조례·방식·술어
一. 훈고의 조례
二. 훈고의 방식
三. 훈고의 용어

제5장| 훈고의 방법
一. 고훈(古訓)에 의거한다
二. 가차자(假借字)를 본자(本字)로 고쳐 읽는다
三. 자형(字形)을 분별한다
四. 이문(異文)을 고찰한다
五. 어법에 정통(精通)한다
六. 문장의 범례를 살핀다
七. 소리에 따라 뜻을 구한다
八. 어원(語源)을 탐구한다

제6장| 훈고학의 기본 관점
一. 역사적 관점
二. 변증적 관점
三. 유물적 관점

제7장| 훈고를 배우고 연구하는 데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
一. 평실함에 힘쓰고 호기를 꺼린다
二. 증거를 중시하고 억단을 경계한다
三. 의심되는 것은 차라리 그대로 두되 억지 해석은 하지 않는다

제8장| 훈고 중에 흔히 보이는 몇 가지 병폐
一. 글자만 보고 해석하는 병폐
二. 글자를 보태어 해석하는 병폐
三. 연면사(聯?詞)를 잘못 이해하는 병폐
四. 속어를 잘못 이해하는 병폐
五. 허사(虛詞)를 잘못 이해하는 병폐

제9장| 훈고학의 새로운 영역: 한위 육조 이래의 방속어(方俗語) 연구
一. 속어 연구의 의의
二. 속어 연구의 역사와 현상
三. 속어 연구의 재료와 방법
四. 속어 연구의 전망

제10장| 훈고 원류 술략
一. 선진 전적: 훈고의 맹아가 나타나다
二. 진한 사이: 체계를 갖춘 첫 번째 훈고학 전문 서적 『이아爾雅』
三. 양한 시기: 훈고학이 크게 일어나다
四. 위진남북조·수당(隋唐): 경학의 종속적 지위를 벗고 고문헌을 위하여 봉사하다
五. 송대: 훈고학의 변혁 시기
六. 원·명 양대: 훈고학의 쇠퇴
七. 청대: 훈고학의 황금시대

부록 1. 훈고학 참고문헌 요목
부록 2. 속어 연구 참고문헌 요목

저자 후기
『훈고학 입문』 정리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