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형태소와 단어의 불분명한 경계에 대한 처리 방안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3. 형태소와 단어의 불분명한 경계
4. 불분명한 경계의 교육적인 접근
5. 결론

제2장인지언어학으로 보는 학교문법의 품사
1. 서론
2. 생성 모형과 학교 문법의 품사론
3. 품사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4. 품사 분류 학습의 한계: 단어와 구문 중심의 접근
5. 결론

제3장불규칙에 대한 인지적 접근
1. 서론
2. 불규칙에 대한 인지문법과 인지과학의 토대
3. 한국어의 불규칙활용에 대한 인지적 고찰
4. 학교 문법의 불규칙 교육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제4장주의 이론에 기초한 한국어 주어 현상의 이해
1. 서론
2. 조명 이론 그 이후
3. 주의 이론에 비추어 본 TR/LM 조직의 재고찰
4. 주의 이론으로 보는 한국어의 주어현상
5. 논의와 결론

제5장인지언어학으로 보는 한국어의 조사: 조사 ‘에’를 중심으로
1. 서론
2. 조사 연구의 인지적 토대
3. 조사 ‘에’의 의미와 구문
4. 언어 교육에의 시사점
5. 결론

제6장시뮬레이션 모형으로 보는 한국어 보조동사의 의미 해석 과정
1. 서론
2. 시뮬레이션 의미론과 동사의 의미 해석 모형
3. 보조동사의 의미 해석 과정: ‘놓다’와 ‘두다’
4. 결론

제7장동기화에 기초한 피동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1. 서론
2. 동기화에 대한 이해
3. 동기화에 기초한 문법 교육의 필요성
4. 동기화에 기초한 피동 표현의 교육
5. 결론

제8장수사학적 문법의 인지적 토대
1. 서론
2. 수사학적 문법의 성립 배경과 특성
3. 수사학적 문법의 인지적 구성 요소
4. 결론

제9장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문법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
1. 서론
2. 국어 교육과 인지언어학: 국어 교육에 인지언어학이 필요한 이유는?
3.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현행 문법 교육 내용 체계의 개선 방향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