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 서론
Ⅱ. 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
1. 문화와 문화 교육
1) 문화의 개념과 문화에 대한 관점
2) 문화 교육의 유형과 특징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개념
1) 의사소통과 ‘문화’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3.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위상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안
Ⅲ.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
1. 문화 교육 목표 재설정의 필요성
2.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지향하는 문화 교육의 목적
1)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
2)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의식 및 문화 교육 목적
3.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간 이해 능력’
1)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교육
2)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과 문화 교육
3)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간 이해 능력’의 관계
Ⅳ.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와 교육 방향
1.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과 범주
1) 문화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
2) 한국문화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
2.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
1) ‘상호문화적 접근’ 원리
2) 한국문화 세 범주에 대한 ‘통합적 접근’ 원리
3. 두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문화 교육 방향
1)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2) ‘문화 간 이해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한국문화 콘텐츠 서지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