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5
주요 연대표14
일러두기18
참고문헌453

수사학 Techne rhetorike19
시학Peri poietikes337

수사학 차례

제1권
제1장수사학의 본성 (1354a~1355b)
제2장수사학의 정의 (1355b~1358a)
제3장수사학의 종류 (1358a~1359a)
제4장심의 범위 (1359a~1360b)
제5장행복 (1360b~1362a)
제6장좋음 (1362a~1363b)
제7장상대적 유용성 (1363b~1365b)
제8장정체들 (1365b~1366a)
제9장과시용 연설 (1366a~1368a)
제10장불의 (1368b~1369b)
제11장즐거움 (1369b~1372a)
제12장범죄 심리 (1372a~1373a)
제13장범죄와 처벌 (1373b~1374b)
제14장상대적으로 중대한 범죄들 (1374b~1375a)
제15장기술(技述) 외적 설득 수단들 (1375a~1377b)

제2권
제1장감정과 성격의 역할 (1377b~1378a)
제2장분노 (1378a~1380a)
제3장차분함 (1380a~1380b)
제4장우정과 적개심 (1380b~1382a)
제5장두려움과 자신감 (1382a~1383b)
제6장수치심 (1383b~1385a)
제7장호의 (1385a~1385b)
제8장연민 (1385b~1386b)
제9장분개 (1386b~1387b)
제10장시기 (1387b~1388a)
제11장경쟁심 (1388a~1388b)
제12장성격, 청년기 (1388b~1389b)
제13장노년기 (1389b~1390a)
제14장한창때 (1390a~1390b)
제15장출생 (1390b~1390b)
제16장부(富) (1390b~1391a)
제17장권력 (1391a~1391b)
제18장공통된 논제들 (1391b~1392a)
제19장가능성의 문제 (1392a~1393a)
제20장예증 (1393a~1394a)
제21장금언 (1394a~1395b)
제22장생략삼단논법 (1395b~1397a)
제23장증명하는 논제들 (1397a~1400b)
제24장실체 없는 논제들 (1400b~1402a)
제25장논박 (1402a~1403a)
제26장확대와 축소 (1403a~1403b)

제3권
제1장역사적 개관 (1403b~1404a)
제2장명료성 (1404b~1405b)
제3장무미건조함 (1405b~1406b)
제4장직유 (1406b~1407a)
제5장정확성 (1407a~1407b)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