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5
책을 다시 내며9

1. 들머리15
1.1. 문법적 셈숱화 구문15
1.2. 셈숱화 구문의 유형 17
1.3. 통사론적 문제 20
1.4. 이론적 배경 25

2. 셈숱말의 형태와 의미27
2.1. 셈숱말의 형태 27
2.2. 셈숱말의 의미 30

3. 셈숱말의 통사 범주43
3.1. 문제의 성격 43
3.2. 셈숱말의 분포 44
3.3. 셈숱말의 수식어 47
3.4. 셈숱말의 관형화 55
3.5. 요약 및 남은 문제 59

4. 매김 관계 구문 61
4.1. 구조에 대한 가설 61
4.2. 상위 서술어 설62
4.3. 셈숱말의 영역 특성 67
4.4. 셈숱말 내리기72
4.4.1. 통사적 효과73
4.4.2. 내리기 규칙으로서의 특이성74
4.4.3. 구조 변화의 특이성78
4.4.4. 특이성의 해결 방안 81
4.5. 명사형 셈숱말과 명사문83
4.6. 요약 및 함의92

5. 딸림 관계 구문95
5.1. 논의의 목적95
5.2. 어휘적 딸림 관계와 통사적 딸림 관계96
5.3. 딸림 관계 구문의 함의99
5.4. 부분적 구성과 묶기 관계 103
5.5. 접속문으로서의 딸림 관계 구문109
5.6. 요약 116

6. 곱셈 관계 구문119
6.1. 논의의 대상과 목적 119
6.2. 영역 중의성과 논리적 형태 121
6.3. 뒤섞기 규칙과 “씩” 126
6.4. 배분 관계132
6.5. 셈숱말로서의 배분 관계 구성체 139
6.6. 상관 영역과 고립 영역의 통사 구조 144
6.7. 요약 및 함의148

7. 셈숱말 옮기기151
7.1. 문제의 성격과 목적151
7.2. 명사의 지시 의미153
7.3. 통사적 동기159
7.3.1. 셈숱말 수식어와 분리 현상160
7.3.2. 의존사 “서” 162
7.4. 셈숱말 높이기165
7.4.1. 머리 성분 되기165
7.4.2. 비양상 조건169
7.5. 셈숱말 떼내기175
7.5.1. 기능 도르기175
7.5.2. 수용성 계층과 어휘적 제약184
7.6. 요약 194

8. 마무리197
참고문헌203
찾아보기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