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현대 국어 감탄사의 낱말밭 연구 | 최호철
- 감정 감탄사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감탄사의 개념과 범위
3. 감탄사의 기본 의미
4. 감정 감탄사의 낱말밭
4.1. <놀람>의 감탄사
4.2. <불만>의 감탄사
4.3. <고통>의 감탄사
4.4. <한탄>의 감탄사
4.5. <감격>의 감탄사
4.6. <흥취>의 감탄사
4.7. <불쾌>의 감탄사
4.8. <분노>의 감탄사
4.9. <기쁨>의 감탄사
4.10. <각성>의 감탄사
4.11. <불쌍>의 감탄사
4.12. <안심>의 감탄사
4.13. <슬픔>의 감탄사
4.14. <후회>의 감탄사
4.15. <근심>의 감탄사
4.16. <흐뭇>의 감탄사
4.17. <실망>의 감탄사
4.18. <만족>의 감탄사
4.19. <유쾌>의 감탄사
4.20. <이상>의 감탄사
4.21. <걱정>의 감탄사
4.22. <공포>의 감탄사
4.23. <초조>의 감탄사
4.24. <포기>의 감탄사
4.25. <곤란>의 감탄사
5. 맺음말
|참고문헌|

평행 이동 동사의 낱말밭 연구 | 김혜령, 정유남, 황림화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평행 이동 동사의 기본 의미
4. 평행 이동 동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대상 이동 동사의 낱말밭 연구 | 정연주, 이영제, 이화자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연구 대상
2.2. 단어 선정
3. 대상 이동 동사의 기본 의미
4. 목표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의 낱말밭
4.1. 도달점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2. 출발점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3. 이동 과정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4. 정리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통증(痛症) 표현 형용사의 낱말밭 연구 | 이선우, 송금숙, 이선영
1.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대상
1.2. 선행 연구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통증 표현 형용사의 기본 의미
4. 통증 표현 형용사의 낱말밭
5. 결 론
|참고문헌|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연구 | 권용문
- 미추(美醜) 표현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기본 의미
4.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4.1. 미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나누기
4.2. 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나누기
4.3.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 낱말밭의 형상화
5. 결론
|참고문헌|

국어 음식 용기 명칭의 낱말밭 연구 | 김지애, 니콜라, 유민호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음식 용기 명칭의 기본 의미
4. 음식 용기 명칭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와 이탈리아의 낱말밭 비교 연구 | 니콜라 프라스키니
-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어휘를 중심으로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한국어 연구 대상 목록
2.2. 이탈리아어 연구 대상 목록
3. 연구 대상의 기본 의미
3.1. 한국어 대상 어휘의 기본 의미
3.2. 이탈리아어 대상 어휘의 기본 의미
4.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어휘의 낱말밭
4.1.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한국어 어휘의 낱말밭
4.2.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이탈리아어 어휘의 낱말밭
4.3.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어휘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현대 한국어 요리 명사의 낱말밭 연구 | 장미정, 정미경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대상 및 범위 한정
2.2 대상 어휘 선정 과정
3. 요리 명사의 기본 의미
4. 요리 명사의 낱말밭
4.1. 의미 자질의 설정
4.2 요리 명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상징부사의 낱말밭 연구 | 김성은, 신우봉, 이경
-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을 중심으로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연구의 대상
2.2. 선행연구
2.3. 연구 대상 목록의 선정
3.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 상징 부사의 기본의미
4.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 상징 부사의 낱말밭
4.1. 의미 분석 및 자질 설정
4.2. 낱말밭 모형 및 수형도
5. 결론
|참고문헌|

섭취동사의 낱말밭 | 장옥진
1. 서론
2. 연구 대상의 선정
3. 섭취 동사의 의미 분석
4. 섭취동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