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기는 말
■Preface to Korean translation of Figurative Language
■「비유 언어」의 한국어판 서문
■그림 차례
■표 차례
■감사의 글

제1장 서론
1.1 비유 언어의 재평가
1.2 은유: 비유적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1.3 환유
1.4 비유적에 대한 이해 확장: 혼성과 비유 문법
1.5 비유 언어, 인지, 문화
1.6 비유 언어의 용법
1.7 기본적 장치: 범주, 틀, 정신공간
1.8 미래로 가는 길

제2장 은유의 기초
2.1 사상의 개념
2.2 틀과 영역
2.3 사상은 어떻게 경험에 기초하는가
2.3.1 영상도식과 경험적 상관성
2.3.2 일차적 은유, 융합, 마음은 몸이다 사상
2.3.3 “양방향적” 은유
2.3.4 은유적 의미 변화
2.4 관습적인가, 아니면 창조적인가?
2.5 인지적 은유 이론의 실험적 뒷받침
2.6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사이에서 무엇이 전이되는가?
2.7 결론
2.8 요약

제3장 은유적 구조: 층위와 관계
3.1 은유들 간의 계승과 합성적 관계
3.2 복잡성의 층위
3.3 복합적 사상의 경험적 기초
3.4 영상 은유
3.5 근원영역-목표영역 관계에 대한 제약 -그것은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것인가?
3.5.1 구체화와 의인화
3.5.2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만들기
3.5.3 은유 집단
3.6 결론: 구체성과 추상성, 총칭성과 특정성
3.7 요약

제4장 정신공간과 혼성
4.1 왜 두 영역보다 더 많은 구조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가: 혼성으로서 은유
4.2 정신공간과 틀의 관계
4.3 공간과 틀: 유형과 관계
4.4 혼성 과정과 혼성공간의 유형
4.4.1 혼성공간 구성하기
4.4.2 혼성공간의 유형
4.4.3 복잡한 다중범위 예
4.5 결론
4.6 요약

제5장 환유
5.1 부분-전체 틀 환유, 틀부여, 구체화
5.2 환유와 은유
5.3 환유적 다의성과 의미 변화
5.4 언어적 형태 환유
5.5 틀 환유와 언어 및 인지에서 비대칭성
5.6 범주적 환유의 인지적 기초
5.7 정신공간 구축과 혼성에 대한 환유의 기여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