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려시대 아악의 변천과 지속
1. 머리말 = 13
2. 송의 대성악 제정 경위와 고려의 대성아악 수용 = 15
1) 대성악 제정 경위와 연주제도 = 15
2) 대성아악(大晟雅樂)의 특성 = 16
3. 고려의 대성아악(大晟雅樂) 수용(受容) = 27
1) 대성아악 수용 경위 = 27
2) 고려 대성아악의 특성 = 30
4. 고려시대 아악(雅樂)의 변천과 지속 = 37
1) 고려시대 아악의 변천 = 37
2) 고려시대 아악의 지속 : 조선초기 예악 정비와 고려시대 아악과의 관계 = 70
5. 맺음말 = 73
朝鮮初期『大成樂譜』의 受用과 變容
1. 머리말 = 79
2.『대성악보(大成樂譜)』의 사료적 가치 = 84
1)『대성악보』명칭론 = 85
2)『대성악보』의 사료적 가치 = 91
3.『대성악보』의 수용 = 118
1)『대성악보』수용의 시대적 배경 = 119
2) 조선초기『대성악보』의 수용 동기(動機) = 128
4.『대성악보』의 변용 = 146
1)『율려신서(律呂新書)』연구의 영향 = 148
2)『조선국악장』「십이율성통례(十二律聲通例)」의 전승 = 153
5. 맺음말 = 155
(부록1) 林宇『大成樂譜』와『祖庭廣記』의 釋奠樂譜 비교 = 159
(부록2) 宋·元代 釋奠 樂章比較 = 162
(부록3) 주요 원전 해제 = 167
세종대 음악정책의 전개 양상과 특성
1. 머리말 = 181
2. 세종대 음악정책의 배경 = 182
1) 예악(禮樂)의 조화로운 전승에 대한 이상(理想) = 182
2) 미비한 아악의 회복 필요성 = 183
3) 조선 건국의 업적을 기리는 신악(新樂) 제정의 열망 = 185
3. 세종대 음악정책의 전개 = 187
1) 아악의 정리와 전승 = 187
2) 신악의 창제와 전승 = 196
4. 세종대 음악정책의 특성 = 202
1) 전문성의 확보 = 202
2) 전문 인력의 등용과 재정적 지원 = 205
3) 명분과 현실성의 균형 = 208
5. 맺음말 = 212
『世祖實錄』圓丘「新製雅樂譜」의 연원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 217
2. 원구(圓丘) 제례 전통과 원구악 = 219
1) 고려시대 원구 제례의 전통과 원구악 = 219
2) 조선전기 원구제례의 시행과 용악(用樂) = 223
3) 세조조의 원구제례와 용악(用樂) = 227
3.『세조실록』원구「신제아악보(新製雅樂譜)」분석 = 228
4.『세조실록』원구「신제아악보」의 사용 = 244
5. 맺음말 = 245
The Acceptance of Ta-Sheng Ya-Y u ·· eh in Goryeo
1. Introduction = 249
2. Comparison of other scholars'' views on the acceptance of Ta-sheng Ya-y u ·· eh in Goryeo = 251
3. Conclusion = 259
한국 아악의 원조(元祖),『대성악보』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 261
2. 대성악보의 재구성 = 264
3. 전개 양상 = 266
4. 대성부(大晟府) = 276
5. 대성악보에 나온 16 선율 = 278
6. 맺음말 = 282
[참고문헌]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