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권정생 문학으로 들어가기
1. 왜 권정생을 다시 읽는가
2. 권정생 문학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3. 어떻게 권정생을 새롭게 읽을 것인가

권정생의 삶과 문학
1. 권정생 문학의 키워드-가난.전쟁.질병과 ‘죽음’
2. 등단 과정 및 창작 활동
3. 사회적.문학적 교유와 작가의식의 형성

초기 문학과 사상(1969∼1980):동화와 기독교 실존주의
1. 죽음과 원죄의식
1) 성서적 원죄의식
2) 낙원상실의식과 부활의 사상
2. 실존적 자각과 자기 결단-기독교실존주의
1) 죽음에 대한 실존적 인식
2) 죽음 인식을 통해 본 권정생의 아동관과 문학관
3) 키르케고르의 기독교실존주의와의 연관성
4) 자기결단-키르케고르적 역설
3. 확장된 삶의 지평과 현실 비판
1) 분단 현실 인식
2) 현실의 모순과 전쟁 비판

중기 문학과 사상(1981∼1990):소년소설 및 소설과 기독교 아나키즘
1. 역사적 증언으로서 소설 선택
1) 권정생의 예수상(像)
2) 함석헌의 ‘씨알’사상과의 연관성
3) 톨스토이의 기독교아나키즘의 영향
4) 중기 소년소설의 특징과 의미
2. 반전의식과 체제 비판-전쟁 소재의 장편소설 분석
1) 장편 <꽃님과 아기양들> 분석
2) 장편 <몽실 언니> 분석
3) 장편 <점득이네> 분석
4) 장편 <초가집에 있던 마을> 분석
5) 톨스토이의 비폭력?반체제 사상과의 연관성
3. 상호부조와 생명존중 사상
1) 상호부조론과 아나키즘적 사유
2) 장편 <한티재 하늘> 분석

후기 문학과 사상(1991∼2007):판타지와 생태 아나키즘
1. 판타지 양식의 선택
2. ‘지금.여기’의 현실 비판-기성 기독교 비판
1) <도토리 예배당 종지기 아저씨> 분석
2) <팔푼돌이네 삼형제> 분석
3) 기성 기독교 비판과 생태적 사유
4) 동반자 예수상-엔도 슈사쿠와의 연관성
5) 무교회주의 및 종교다원주의-정호경, 변선환, 가가와 도요히꼬와의 연관성
3. 대안적 삶과 유토피아 의식
1) 유토피아적 상상력
2) <밥데기 죽데기> 분석-평화통일에의 꿈
3) <랑랑별 때때롱> 분석-생태적 판타지

권정생 문학의 미적 특성
1. 알레고리
1) 알레고리의 개념
2) 권정생 문학의 알레고리적 특징
3) 권정생 문학의 ‘우언’적 성격
2. 구술성
1) ‘이야기꾼’으로서 작가 권정생
2) 권정생 문학의 문체적 특징-구술성과 대화법
3) 권정생 문학의 구성적 특징-명명법, 캐릭터와 플롯
3. 상호텍스트성

마무리_ 권정생 문학 연구의 의의와 과제

보론_ 그림책 글, 다시 쓰기와 새로 쓰기:권정생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기존 작품의 개작-그림책에 맞게 글 다시 쓰기
3. 옛이야기 다시 쓰기와 새로 쓰기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