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서문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자국어와 자국문자–송 민
1. 서언
2. 예비시기에 나타난 ‘국문(國文)’의 의미
3. 국문(國文), 국자(國字)에 대한 자각의 추이
4. 결어-자국어에 대한 자각

문언(文言)에서 백화(白話)까지 번체(繁體)에서 간체(簡體)까지–왕웨이훼이
근대 전환기 중국의 서면어(書面語)와 문자(文字)
1. 문언지백화(文言至白話)
2. 번체에서 간체까지
3. 어문혁신-역사의 필연

근대 이행기 중국의 자국어 인식–양세욱
1. 유동(流動)하는 중국어
2. 에스페란토와 중국어 페시미즘
3. 보편어에서 민족어로-근대 중국의 언어개혁운동
4. 중국의 근대와 중국어의 근대

근대 이행기의 일본의 자국어 인식–사이토 후미도시
1. 머리말
2. 근세의 한문 훈독의 변천
3. 근세 번역과 자국어 의식

근대 이행기 한국에서의 자국어 인식–장윤희
1. 서론
2. ‘국어(國語)’와 ‘국문(國文)’의 관계 인식
3. 근대 이행기의 국어 인식
4. ‘언문일치(言文一致)’에 대한 인식
5. 결론

중국 근대 학술의 전형(轉型) 및 중국 현대언어학의 성립–장위라이
1. 한어(漢語)의 발전 및 중국언어학의 전통
2. 근대 중국 역사의 전환 및 중국 현대어학의 성립
3. 근대 이행기 중국어학에 대한 평가

근대 이행기의 일본어학 성립–야스다 토시아키
1. 머리말
2. ‘박언학(博言学)’이라는 말
3. 제국대학 언어학
4. 비교 언어학에 회의
5. 맺는 말-일본어학의 또 다른 형태

근대 베트남에서의 자국어 및 자국어학의 성립–부 득 응예우
1. 베트남어의 계통 및 발전과정
2. 근대 시대의 베트남 자국어학의 형성 및 발전 과정
3. 결론

필자 및 역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