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1. 서론 = 1
1.1 연구 목적과 대상 = 1
1.2 연구 방법론과 구성 = 2
1.3 선행 연구 = 7
2. 어휘부 등재 단어의 공시적 성격 = 13
2.1 생산성과 공시성의 관계 = 14
2.2 파생어의 어휘부 등재 = 18
2.2.1 접두파생어의 어휘부 등재 = 18
2.2.2 접미파생어의 어휘부 등재 = 22
2.3 합성어의 어휘부 등재 = 45
2.4 용언 활용형에서 나타나는 재구조화 = 52
3. ㄷ구개음화 현상 = 63
3.1 ㄷ구개음화 현상의 양상 = 63
3.2 ㄷ구개음화 현상의 발생 = 65
3.3 ㄷ구개음화 현상의 통시적 적용 환경 = 80
3.4 ㄷ구개음화 현상의 소멸 = 87
4. ㄹ탈락 현상 = 109
4.1 ㄹ탈락 현상의 양상 = 109
4.2 ㄹ탈락 현상의 발생 = 122
4.3 ㄹ탈락 현상의 통시적 적용 환경 = 130
4.4 ㄹ탈락 현상의 소멸 = 149
5. 유음화 현상 = 159
5.1 유음화 현상의 양상 = 159
5.2 유음화 현상의 발생 = 163
5.3 유음화 현상의 통시적 적용 환경 = 173
5.4 유음화 현상의 소멸 = 176
6. 두음제약 현상 = 187
6.1 두음제약 현상의 양상 = 187
6.2 두음제약 현상의 발생 = 193
6.3 두음제약 현상의 발생 원인 = 203
6.4 두음제약 현상의 소멸 = 205
7. 움라우트 현상 = 213
7.1 움라우트 현상의 양상 = 213
7.2 움라우트 현상의 발생 = 224
7.3 움라우트 현상의 통시적 적용 환경 = 249
7.4 움라우트 현상의 소멸 = 252
8. 모음조화 현상 = 257
8.1 모음조화 현상의 양상 = 257
8.2 중세국어의 모음 체계 = 260
8.3 모음조화 현상의 통시적 적용 환경 = 272
8.4 모음조화 현상의 소멸 = 303
9. 음운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07
9.1 ㄷ구개음화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08
9.2 ㄹ탈락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10
9.3 유음화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12
9.4 두음제약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18
9.5 움라우트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20
9.6 모음조화 현상의 소멸 원인과 조건 = 322
9.7 종합 = 330
10. 결론 = 333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