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01 들머리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과 구성

02 분류사 연구의 인지언어학적 기초
1. 분류사의 성격
2. 분류사 연구의 인지언어학적 적용 가능성
2.1. 개념적 환유·은유 이론
2.2. 원형 이론
2.3. 해석설

03 한국어 분류사 생성의 인지적 기제
1. 사람명사·신체어·식물어에 기반한 분류사
2. 사물·장소·시간명사에 기반한 분류사
3. 신체동작어에 기반한 분류사
4. 한국어 분류사 생성 과정의 인지적 설명
4.1. 환유에 기초한 문법화
4.2. 은유에 기초한 문법화
4.3. 은·환유에 기초한 문법화

04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양상
1. 생물 분류사
1.1. 인간성 분류사
1.2. 동물성 분류사
1.3. 식물성 분류사
2. 무생물 분류사
2.1. 형상성 분류사
2.1.1. 점형(點形) 분류사
2.1.2. 선형(線形) 분류사
2.1.3. 평면형(平面形) 분류사
2.1.4. 입체형(立體形) 분류사
2.2. 기능성 분류사
2.2.1. 의·식·주생활 관련 분류사
2.2.2. 문화·농경·경제생활 관련 분류사
2.2.3. 기계·도구 관련 분류사
2.3. 수효성 분류사
2.3.1. 개체적 수효성 분류사
2.3.2. 집합적 수효성 분류사
2.4. 부분성 분류사
2.4.1. 선형물(線形物) 부분성 분류사
2.4.2. 평면(平面)·입체물(立體物) 부분성 분류사
3. 추상물 분류사
3.1. 도량성 분류사
3.1.1. 표준적 도량성 분류사
3.1.2. 일시적 도량성 분류사
3.2. 시간성 분류사
3.3. 사건성 분류사
4. 한국어 분류사 범주화 양상의 인지적 설명
4.1. 분류사-명사지시물의 일 대 다 관계
4.2. 분류사-명사지시물의 다 대 일 관계

05 한·중 분류사의 대조 분석
1. 어휘항목별 대조 분석
1.1. 고유어 분류사
1.1.1. 완전동의관계
1.1.2. 완전이의관계
1.1.3. 부분동의관계
1.2. 한자어 분류사
1.2.1. 완전동의관계
1.2.2. 완전이의관계
1.2.3. 부분동의관계
2. 의미범주별 대조 분석
2.1. 생물 분류사
2.1.1. 인간성 분류사
2.1.2. 동물성 분류사
2.1.3. 식물성 분류사
2.2. 무생물 분류사
2.2.1. 형상성 분류사
2.2.2. 기능성 분류사
2.2.3. 수효성 분류사
2.2.4. 부분성 분류사
2.3. 추상물 분류사
2.3.1. 도량성 분류사
2.3.2. 시간성 분류사
2.3.3. 사건성 분류사
3. 한·중 분류사 대조적 양상의 인지적 설명
3.1. 공통성의 동기화 요인
3.2. 개별성의 동기화 요인
3.2.1. 인지적 경향성으로 동기화된 개별성
3.2.2. 문화적 경험으로 동기화된 개별성

06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