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 정도전과 공공성-공공하는 철학으로 다시 밝혀봄(김태창)
· 세종의 수령고소금지법 개정과 ‘공공함’의 정치(정윤재)
· 당쟁은 어떻게 공론정치를 사사화(私事化)시켰나
-선조 전반기 붕당의 등장과 율곡 개혁론의 좌절(박현모)
· 17세기 공공성 담론의 탈도학적 경향(정순우)
· 퇴계학파의 공공성 담론-여헌 장현광을 중심으로(가타오카 류)
· 정약용의 형법 사상에 나타난 공공성-『흠흠신서』를 중심으로(김봉진)
· 한국 근대의 국가 공공성 의식
-‘민’의 참여와 체제 대응을 둘러싼 동학·천도교 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고희탁)
· 면우 곽종석의 공공이학(公共理學)(야규 마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