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설(序說)

Ⅰ 기원起源

제1장 침구(鍼灸)의 기원
1. 고전 속의 서술과 출토 의서
2. 수술용구로서의 폄석
3.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폄ㆍ침(鍼)ㆍ석(石)
4. 《사기史記》〈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의 침구(鍼灸)
5. 출토 의서와 출토 유물
6. 폄법ㆍ침법(鍼法)ㆍ구법(灸法)
7. 침구의 기원에 관한 가설명제군(假說命題群)
ㆍ 부록 《음양맥사후陰陽脈死候》

제2장 탕액(湯液)의 기원
1. 제형(劑形)으로서의 탕액
2. 《오십이병방》의 원(原)-탕액(湯液)
3. 《무위한대의간武威漢代醫簡》의 탕방(湯方)
4. 《사기》〈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의 탕(湯)과 화제(火齊)
5. 《황제내경》의 탕액(湯液)과 요례
6. 탕액파(湯液派)라는 유파(流派)와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

제3장 본초(本草)의 기원
1. 전설에서 역사로
2. 학문으로서의 본초의 성립
3. 본초서(本草書)의 출현
4.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의 편찬
5. 초기 본초에 대한 분석
6. 《신농神農》〈서록序錄〉 일문(佚文)이 의미하는 것
7. ㆍ신농ㆍ를 기록한 사람들

제4장 최초의 임상의학서
1. 《오십이병방五十二病方》의 구성
2. 《오십이병방》의 주술요법

Ⅱ 고전古典

제5장 《황제내경》의 성립
1. 황제학파의 논문집
2. 원형으로서의 마왕퇴 출토의서
3. 출토 의서로부터 《황제내경》을 차이 짓는 것
4. 황제학파의 형성과 발전

제6장 구궁팔풍설(九宮八風說)과 「풍(風)」의 병인론(病因論)
1. 작업가설과 분석방법
2. 태일구궁점반(太一九宮占盤)
3. 구궁점풍가(九宮占風家)
4. 원단(元旦)의 점풍(占風)
5. 팔풍(八風)과 병과 구궁팔풍도(九宮八風圖)
6. 병가(兵家)의 점풍(占風)
7. 자연의 리듬과 신체의 리듬
8. 구궁팔풍설(九宮八風說)의 행방
9. 발성기관의 해부와 음악
10. 유형론적 사고
11. 소사파(少師派)의 위치

제7장 계량 해부학과 인체계측 사상
1. 왕망(王莽)의 해부
2.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해부논문
3. 《난경難經》의 해부 관련 서술
4. 생리학과 오행ㆍ천문사상
5. 대우주와 소우주의 조응
6. 백고파(伯高派)와 병법가(兵法家)
7. 황제내경 십팔권(黃帝內經十八卷)과 황제학파(黃帝學派)
8. 계량해부학(計量解剖學)에서 기술해부학(記述解剖學)으로

제8장 진단 제법과 「허(虛)」의 병리학
1. 《난경難經》의 고맥법(古脈法)
2. 규탁(揆度)ㆍ기항(奇恒)
3. 음양(陰陽)ㆍ종용(從容)ㆍ자웅(雌雄)
4. 오중(五中)
5. 인영촌구맥법(人迎寸口脈法)
6. 종시(終始)
7. 비류(比類)ㆍ명당(明堂)
8. 문진(問診)과 인사(人事)
9. 내인론(內因論)과 「허(虛)」의 병리학
ㆍ 보론 삼초(三焦)

제9장 삼부구후법(三部九候法)과 고대의학 형성의 패턴
1. 삼부구후론(三部九候論)의 구성
2. 구침의 기법과 구침론
3. 구침편(九鍼篇) 속의 역사
4. 삼부구후법(三部九候法)의 자법(刺法)
5. 상맥법(相脈法)에서 삼부구후맥법(三部九候脈法)으로
6. 고대의학 형성의 패턴

주(注)
후기
도판 출전 일람
찾아보기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