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1부. 분석 틀 마련하기
1장 왜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정당화 글쓰기를 공부해야 하는가?
1. 근거중심글쓰기의 구조와 내용
2. 정의를 통한 개념의 이해
3. 근거중심의학과 근거중심글쓰기
4. 근거중심글쓰기의 사고 과정과 절차적 구조

2장 근거중심글쓰기의 기초가 되는 논리와 비판적 사고
1. 왜 주장을 담고 있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논리와 비판적 사고가 요구되는가?
2. 분석과 평가
3. 근거중심글쓰기의 단계적 사고 과정과 절차적 구조 요약

3장 논증 (재)구성에 기초한 분석적 요약
1. 논증 (재)구성에 기초한 분석적 요약이란?
2. 분석적 요약 연습

4장 분석적 요약에 기초한 분석적 논평
1. 분석적 요약과 분석적 논평의 관계
2. 〈분석적 논평〉과 논평글(논평 에세이)의 관계
3. 논평글: 자신의 입장 확인하기

2부. 분석 틀을 활용하여 실천적 문제에 적용하기
5장 엘리트, 전문가 그리고 전문직업성
1.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기 위한 사고의 절차와 단계
2.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기 위한 사고의 절차와 단계의 적용
3. 관련 이론 및 문헌을 통한 비교 및 평가하기[4단계]

6장 의사의 환자에 대한 두 가지 역할과 태도: ‘사랑의 기술’ 분석을 통한 분석
1. 어떤 의사의 고백과 의사가 갖고 있는 두 가지 역할
2. 과학의 본성과 과학으로서의 의학
3. ‘사랑’의 정의와 의사의 역할
4. 의사의 두 역할은 충돌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5. 의학 없는 사랑은 맹목적이고, 사랑 없는 의학은 공허하다:
〈한국의 의사상 5판(2014)〉

7장 의료자원과 분배적 정의
1. 의료자원의 분배적 정의에 관한 첫 번째 논의: 의료보험과 관리보험체계
2. 개인적 차원의 분배적 정의의 문제: 조건적 문제 상황에 대한 사고실험

8장 동물 살생과 동물실험
1. 동물을 이용한다는 것의 문제
2. 동물을 이용하는 것에 관련된 몇 가지 논증
3. 동물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
4. 동물실험에 관련된 핵심 내용들
5. 허용 가능한 동물실험의 조건

9장 의무의 충돌: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자발적 동의와 진실 말하기
1.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자발적 동의
2. 뉘른베르크 강령에 대한 논리적 분석
3. 자기결정: ‘충분한’ 또는 ‘만족할 만한’?
4. 진실 말하기

10장 자율규제의 두 얼굴
1. 전문직업성의 두 측면 그리고 두 얼굴의 자율규제
2. 전문가의 자율규제 요구 논리와 그것의 문제점
3. 사회계약적 관점에 의거한 전문직 자율규제 분석
4. 자율규제의 도덕철학적 분석: 롤스의 정의의 원리
5. 충심 개념 분석을 통한 자율규제의 이해
6. 조직에 대한 조합주의적 충심과 전문성 충심

11장 의학적 추론, 근거중심의학 그리고 빅 데이터
1.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와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2. 인과적 설명의 어려운 문제와 빅 데이터
3. 근거중심의학과 통계적 자료에 기초한 의학 추론
4. 의학의 인과적 추론과 빅 데이터

12장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윤리적 명령 분석
1. 충심과 신의성실의 의무
2. 선행의 원리와 악행금지의 원리에 의거한 합리적 의사결정
3. 비밀유지의 의무와 개인의 도덕적 딜레마

맺음말: 대학, 전문가 그리고 웰빙
1.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근본적인 물음들
2. ‘well-bing’인가, ‘being’인가?

참고문헌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