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시교육과 시교육사의 출발
I. 시교육사 서술의 관점과 방향
1. 시교육사 서술의 방향과 원리
2. 시교육사 서술의 양상
1) 시교육사 서술의 성과
2) 시교육사 서술의 출발점과 도달점

3. 시교육사 서술의 방법론
1) 시교육사 서술의 대상과 충위
2) 시교육사 서술에서의 기술적 문제

II. 현대시와 현대시교육의 형성
1. ''현대시''의 인식과 현대시교육
2. 현대시교육의 전사(前史) : 일제 강점기의 시교육
3. 현대시교육의 모색: 광복에서 한국 전쟁까지의 시교육
1) 해방 공간에서의 시교육 구축
2) 남묵 문단의 재편과 시교육의 재구성
3) 한국 전쟁에 대한 시교육의 대응

4. 현대시교육의 정착: 한국 전쟁 이후 국가 교육과정 수립 전까지의 시교육
5. 현대시교육의 형성에 대한 평가
[이면사] 1-문학 자체가 교육 기능을 담당하다: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
[이면사] 2-이념이 문학을 지우다: 해방기 현대시교육의 진폭

+쌈지 문답


제2부 국정교과서기의 시교육 양상
I. 국가 교육과정의 시행과 현대시교육: 1-2차 교육과정기
1. 국가 교육과정 제정의 시교육적 환경
2. 1-2차 교육과정기 시교육의 양상
1) 교양 함양으로서의 시교육
2) 순수 서정시 중심의 제재 편성
3) 정서 공유에 대한 피상적 확신

3. 1-2차 교육과정기 현대시교육의 의의
[이면사] 모국어를 통한 언어적 정체성 확립의 어려움

+쌈지 문답

II.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정착과 현대시교육: 3-4차 교육과정기
1. 하군중심 교육과정 성립의 시교육적 환경
1) 1960-1970년대 현대시의 교육적 수용
2) 1970-1980년대의 사회 · 문화적 배경과 시교육 이데올로기

2. 3-4차 교육과정기 시교육의 양상
1)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지향과 시교육
2) 제재의 양적 확대와 제한적 수용
3) 학습 활동에 반영된 배제의 이데올로기

3. 3-4차 교육과정기 시교육의 양상
[이면사] 한국 문단의 신비평 도입의 주역: 백철의 삶과 문학

+ 쌈지 문답

III. ''기능''의 제도화와 현대시교육: 5-7차 교육과정기
1. 제도의 중충성과 제도로서의 시교육 환경
1) 제도로서의 시교육이 지니는 이중성
2) 1980-1990년대 시교육의 문학전 환경

2. 5-7차 교육과정기 시교육의 양상
1)''기능''의 중층성과 시교육
2) 수록 제재의 효용론적 기능화
3) 학습 활동에 나타난 ''끌고 가기''와 ''밀어내기''의 긴장

3. 5-7차 교육과정기 현대시교육의 의의
[이면사] 제도권의 문학교육에 의문을 제기하다: 문학교육연구회와 전국국어교사모임

+쌈지 문답

제3부 시교육사 전개의 동인과 변곡점
I.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과 시교육
1.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교육의 위상
1)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념과 교육과정의 구체화
2) 시교육과 국어 교과의 영역 문제

2. 국어 교과서의 변화와 시교육의 실행 양상
1) 교과서 명칭과 체제의 변화: 『독본』,『교본』, 『국어』
2) 교과서 목차와 단원 구성의 변화 : 문종·주제 → 목표 · 활동

II. 문학사를 보는 관점과 시교육의 대응
1. 시교육과 교육 정전
1) 정전을 둘러싼 담론들: 정전과 정전의 길항
2) 정전의 목록화에 숨은 전제와 한계
3) 정전 활동으로서의 시교육의 가능성

2. 친일시 논쟁과 시교육
1) 친일 문학의 생성과 문학교육의 접근
2) 문학교육에서 친일 문제를 다루는 방식
3) 문학교육과 친일시 논의의 방향

3. 번역시의 수용과 시교육
1) 번역시 수록 실태와 교육과정
2) 교육과정기에 따른 번역시 수용 양상

III. 문학교육의 정치 · 사회적 조건
1. 정치 환경의 변화와 시교육
1) 정치 변동에 따른 문학 환경의 변화와 대응
2) 해금 조치에 따른 현대시교육의 변화

2. 사회 변화와 시교육
1) 한국 전쟁과 기억으로서의 시교육
2) 산업화 · 도시화 시대의 시와 시교육의 대응
3) 정보화 시대, 현대시와 시교육의 방향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