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5
제1장 종교행정과 교육행정의 분리 논쟁: 1870년 전후 15
Ⅰ. 메이지 유신 전후의 사회상 18
Ⅱ. 국민통합과 신·유·불 합동 포교 체제의 구상 26
Ⅲ. 문부성과 교부성의 갈등 32
Ⅳ. 종교적 교화에서 근대적 교육으로 38
제2장 도덕교육 논쟁: 1870~1880년대 45
Ⅰ. 서구화 풍조의 유행과 1879년 교육령 48
Ⅱ. 교육의敎育議 논쟁 54
Ⅲ. 덕육德育 논쟁의 전개 59
Ⅳ. 지육 편중의 교육에서 덕육 편중의 교육으로 76
제3장 신민교육과 국민교육 논쟁: 1880년대 중반 79
Ⅰ. 1880년대 사회사상의 흐름 82
Ⅱ. 국가주의 사상의 교육적 반영 89
Ⅲ. 신민교육과 국민교육의 내용 및 방법 98
Ⅳ. 국가주의 교육의 스펙트럼 104
제4장 학제개혁 논쟁: 1890년대 전반 107
Ⅰ. 근대적 학제개혁의 역사 110
Ⅱ. 1890년대 이노우에 고와시의 학제개혁안 122
Ⅲ. 교육 구상과 현실 정치의 괴리 136
제5장 교육칙어와 기독교의 충돌 논쟁: 1890년대 이후 143
Ⅰ. 교육칙어의 발포와 보급 실태 146
Ⅱ. 1891년 불경 사건의 전모 155
Ⅲ. ‘교육과 종교의 충돌’ 논쟁의 진상 168
Ⅳ. 불경 사건, 그 이후 180
제6장 교육의 중립성 논쟁: 1890년대 후반 187
Ⅰ. 기독교의 보급과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 190
Ⅱ. 교육과 종교의 분리 정책의 전개 204
Ⅲ. 교육의 중립성 논쟁과 기독교계 학교의 선택 215
제7장 교육칙어 수정 논쟁: 1900년 이후 221
Ⅰ. 교육칙어 수정 의견의 대두 224
Ⅱ. 교육칙어 수정 의견의 양상 228
Ⅲ. 교육칙어 수정 불가의 논리 243
맺음말 247
보론 1 | 메이지 시기 일본의 여자교육 251
보론 2 | 메이지 시기 일본의 부락학교 277
참고 문헌 302
찾아보기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