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불교문학 총론

불교문학ㆍ문학사의 연구과제
1. 서론
2. 불교문학의 개념ㆍ범위
3. 불교문학개론의 구도
4. 불교문학 장르 연구
5. 불교문학통사의 구상
6. 불교문학 장르사 연구
7. 불교문학 작품 각론
8. 결론

『한국불교전서』의 문학적 실상과 전개
1. 서론
2. 『한국불교전서』의 찬성경위와 유통양상
3. 『한국불교전서』의 문학적 유형
4. 『한국불교전서』의 장르적 전개
5. 『한국불교전서』의 문예사적 위상
6. 결론

비래사 문물의 불교문화적 전개
1. 서론
2. 비래사의 환경과 전통
3. 비래사 유형문물의 변천과정
4. 비래사 무형문물의 전승양상
5. 결론

제2부 불교문학과 예술세계

실크로드의 불교미술과 문학
1. 서론
2. 불교미술의 구조형태
3. 불교미술과 문학의 관계
4. 돈황문서 중의 불교문학
5. 불교문학의 장르적 전개
6. 불교문학의 유통과 전파
7. 결론

실크로드의 불교문학과 연행양상
1. 서론
2. 실크로드 불교문학의 공질성과 공통성
3. 실크로드 불교문학의 장르적 전개와 연행양상
4. 실크로드 불교문학의 문학ㆍ예술사적 위상
5. 결론

관음전승의 문학적 실상과 예술적 전개
1. 서론
2. 관음전승의 종합예술적 형성ㆍ전개
3. 관음전승의 유형적 실상
4. 관음전승의 장르적 전개
5. 관음전승의 예술적 전개
6. 관음전승의 문학ㆍ예술사적 위상
7. 결론

『반야심경언해』의 문학적 실상과 연행양상
1. 서론
2. 『심경언해』의 찬성경위와 성격ㆍ유통
3. 『심경언해』의 문학적 전개
4. 『반야심경』, 그 언해의 연행양상
5. 결론

제3부 불교재의의 공연양상과 문학세계

불교재의궤범의 공연양상과 문학적 전개
1. 서론
2. 불교재의궤범의 찬성경위와 전승양상
3. 불교재의궤범의 유형실태
4. 불교재의궤범의 공연양상
5. 불교재의궤범의 문학적 전개
6. 불교재의궤범의 문화사적 위상
7. 결론

수륙재의궤의 공연양상과 희곡적 전개
1. 서론
2. 수륙재의궤의 찬성경위와 유통양상
3. 수륙재의궤의 연극적 공연양상
4. 수륙재의궤의 희곡적 전개
5. 수륙재의궤의 불교문화사적 위상
6. 결론

『사리영응기』의 공연양상과 희곡적 전개
1. 서론
2. 『사리영응기』의 제작경위
3. 『사리영응기』의 공연양상
4. 『사리영응기』의 희곡적 실상
5. 『사리영응기』의 불교예술사적 위상
6. 결론

찾아보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