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사회와 사이비역사학
사이비역사학과 역사파시즘 / 기경량
[BOX TALK] 사이비역사학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일까
식민주의 역사학과 ‘우리’ 안의 타율성론 / 강진원
[BOX TALK] 만리장성은 국치의 지표인가?
민족의 국사 교과서, 그 안에 담긴 허상 / 장미애
[BOX TALK] 백제의 요서 진출, 그 진실은?

제2부 사이비, 왜 역사학일 수 없는가
한사군, 과연 롼허강 유역에 있었을까? / 이정빈
[BOX TALK] 고조선의 중심지는 어디였을까?
‘한사군 한반도설’은 식민사학의 산물인가 / 위가야
[BOX TALK] 위만은 압록강을 동쪽으로 건넜나 남쪽으로 건넜나
‘임나일본부’ 연구와 식민주의 역사관 / 신가영
[BOX TALK] 고대사학자의 무한도전 역사서, 『일본서기』
오늘날의 낙랑군 연구 / 안정준
[BOX TALK] ‘초원 4년 호구부’란 무엇인가
‘단군조선 시기 천문관측기록’은 사실인가 / 기경량
[BOX TALK] 고구려·백제·신라는 한반도에 없었다?
단군―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 이승호
[BOX TALK] 기자조선은 실재했는가?
민족주의 역사학의 표상, 신채호 다시 생각하기 / 권순홍
[BOX TALK] 단재가 단재를 비판하다

제3부 젊은 역사학자들, 사이비역사학과 역사 연구를 논하다
[모두발제] ‘사이비역사학’ 개념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올바른 역사’의 딜레마 / 김헌주
[좌담] 욕망하는 역사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사이비역사학’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