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언어학에서의 의미론의 위상
1.1 언어학의 패러독스 = 13
1) 난삽성 = 16
2) 형식주의의 전통 = 25
1.2 통사론적 의미론 = 39
1.3 의미론의 고유적 난삽성 = 56
1) 어휘의 중요성 = 57
2) 지식의 문제 = 59
3) 심리적 절차 = 63
(가) 정신적 어휘부 = 65
(나) 중앙 인지체계 = 70
4) 언어사용의 문제 = 73
5) 의미 변화의 문제 = 79
6) 사회문화적 요소의 개입 = 83
1.4 의미 이론의 난립성 = 88

제2장 의미론 발달의 역사
2.1 세 가지 특징 = 98
1) 2차성 = 101
2) 보조성 = 109
3) 발전성 = 120
2.2 제1기 : 인문주의 시대 = 123
2.3 제2기 : 과학주의 시대 = 128
2.4 제3기 : 후기 과학주의 시대 = 143
1) 형식화의 가속화 = 143
2) 인지심리학적 접근법 = 149
(가) 인지 의미론 = 151
(나) 개념 의미론 = 157
3) 연구영역의 확대 = 163
(가) 사회문화적 연구 = 164
(나) 언어와 사고의 관계 = 167
(다) 의사소통학적 접근법 = 174
(라) 수사학적 영역 = 184

제3장 어휘 의미론의 양상
3.1 어휘적 의미의 특성 = 195
1) 다의성 = 196
2) 조직성 = 203
3) 객관성 대 주관성 = 207
4) 변화성 = 213
(가) 어휘적 의미의 특성 확인 = 214
(나) 의미 이론의 평가 = 217
5) 사회문화성 = 221
3.2 생성 어휘론 = 226
1) 다의성의 문제 = 227
2) 특질 구조 = 231
3) 형 강압의 절차 = 233
4) 전산언어학 발전에의 기여 = 234
3.3 자연의미적 메타 언어론 = 237
1) 기본적 의미 요소 = 239
2) 메타언어 = 242
3) 인지적 해석법 = 244
4) 민족 언어학적 접근법 = 248
3.4 복합어와 관용구 = 255
1) 복합어 = 256
2) 관용구 = 262

제4장 문장 의미론의 양상
4.1 위상과 기여 = 269
1) 형식주의의 정착 = 271
2) 통사론과의 연합 = 277
3) 주요 쟁점의 설정 = 282
(가) 함의와 전제 = 283
(나) 양화사 = 293
4) 어휘 의미론 발전에의 기여 = 305
(가) 지시와 의의 = 306
(나) 은유와 환유 = 311
5) 담화 의미론의 기저 제공 = 317
4.2 몬태규 문법 = 321
1) 개요 = 321
2) 기여성 = 326
3) 문제점 = 338
4.3 통사론과의 관계 = 342
1) 불가피성 = 342
2) 불일치성 = 347
3) 통사론의 자율성 = 351
4.4 화용론과의 관계 = 359
1) 화용적 전제와 의미적 전제 = 362
2) 보완책으로서의 화용론 = 368
(가) 대용어 문제 = 368
(나) 전제 투사의 문제 = 371
(다) 양화사와 대명사간의 결속 관계 = 374
3) 화용론과의 인터페이스 = 375
(가) 기저 조직으로서의 의미 조직 = 375
(나) 의미론 발전의 방향 모색 = 379

제5장 담화 의미론의 양상
5.1 당위성과 실상 간의 괴리 = 404
5.2 Sueren의 담화 의미론 = 414
5.3 담화적 대용어 = 423
1) 담화적 대용어의 특징 = 424
2) 세 가지 본질적 요소 = 249
3) 담화적 대용어의 구조 = 431
5.4 담화 해부와 담화 처리 = 438
1) 담화 해부 = 439
2) 담화 처리 = 447

제6장 과제와 전망
6.1 의미론 발달의 이중적 양면성 = 456
1) 역사적 양면성 = 456
2) 현실적 양면성 = 463
(가) 긍정적인 사실 = 464
(나) 부정적인 사실 = 479
6.2 과제 = 485
1) 단기적 과제 = 485
2) 장기적 과제 = 490
6.3 전망 = 497

참고문헌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