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상고 중국어 음운체계
제1장 시기, 연구자료, 연구방법
제1절 시기 = 2
제2절 연구자료 = 3
1. 고대 시가 = 4
2. 가차(假借) = 7
3. 이문(異文) = 8
4. 성훈(聲訓) = 9
5. 독약(讀若) = 11
6. 중국어 방언 = 11
7. 주변 국가의 한자음 = 12
제3절 연구방법 = 19
제2장 상고 중국어 음운체계
제1절 성모체계 = 23
1. 순음 = 27
2. 설음 = 28
3. 치음 = 36
4. 아음 = 50
5. 후음 = 52
6. 무성의 비음과 유음 성모 = 89
7. 복성모 = 102
8. 재구된 성모체계 = 113
제2절 운모체계 = 114
1. 개음 = 114
2. 운부 = 151
3. 주요모음 = 155
4. 운미 = 166
5. 운모체계 = 202
제3절 성조체계 = 205
1. 성조의 종류 = 207
2. 성조의 기원 = 209
제2편 고대 한국한자음 자료 및 한국어 어휘의 어원
제1장 고대 한국한자음 자료
제1절 개별 한자에 반영된 상고 중국어음 = 224
제2절 옛 지명과 인명에 반영된 상고 중국어음 = 231
1. 고구려의 지명, 인명 = 231
2. 백제의 지명, 관직명 = 236
3. 신라의 지명, 인명, 관직명 = 239
제2장 한국어 어휘의 어원
제1절 선행 연구 = 252
1. 연구 개황 = 252
2. 논의가 필요한 어휘들 = 256
제2절 한국어 어휘의 어원 = 276
1. 중고 중국어에서 기원한 어휘 = 276
2. 상고 중국어에서 기원한 어휘 =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