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009638
한글과 사전
목차
주제 발표 1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사전 – 한글로 된 사전의 편찬 배경
개화기의 이중어사전-----발표자: 이은령 /토론자: 이지영 _013
1.개화기의 이중어사전 개괄 _015
[표1] 개항기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이중어 사전
2.프랑스어-한국어 이중어사전의 편찬 배경과 사전의 특징 _018
2-1 선교사 서한으로 본 사전의 집필 과정과 한국어에 대한 인식 _018
2-2 한불ᄌᆞ뎐 의 특징 _020
2-3 불한사전 의 특징 _021
3. 화용정보와 언어사용역 _022
3-1 구어와 문어의 구분 _022
3-2 언어사용역
[표2] 언어사용역 기술에 쓰인 용어와 표현
[1] 존대법
[표3] 불한에서 존대법 구분과 표현의 예
[표4] 한불에서 존대법 구분과 표현의 예
[2] 일상어의 속어 : 통속어, 비속어
[표5] 불한 과 한불 의 통속어, 비속어 분류
[3] 욕설, 모욕
[표6] 불한 과 한불 의 욕설 분류
5. 결론
[논설] “개화기의 이중어사전 –불한사전 과 한불사전 에 나타난 화용정보와 언어사용역을 중심으로” 에 대한 토론문 –이지영(서강대) _031-033
1. 강점기의 사전: 일본어 사전과의 교섭----발표자: 송영빈 / 토론자: 안예리 _035
1. 조선통독부편 조선어사전 의 여러 판본
2. 흥미로운 사실
2-1 어종
[표 1] 어종별 사전 표제어의 양상
2-2 표제어 선정 과정
2-3 교열
2-4 출판비
3 조선어사전의 한자 표제어
4 잠정 결론
[논설] “강점기의 사전: 일본어 사전과의 교섭”에 대한 토론문 –안예리(한국학중앙연구원)
_043-044
<주제 발표 2부> 사전의 사회문화적 기능 – 사전과 언어 정책
3. 우리말 사전과 언어민족주의-----발표자: 최경봉 / 토론자: 조남호 _047
[논저] 국어사전과 어문민족주의-최경봉(원광대학교 국문과) _049
1 머리말 _049
2 어문민족주의와 근대 초기 국어사전 편찬 담론 _049
(1) 국문연구회 설립취지서 일부 _049
(2) 국문연구소 연구위원들의 문제의식 _050
(3) 국문 연구에 대한 관견(管見), 대한매일신보 1908.3.1. 국한문의 현대어 역 _050
3 일제강점기 조선어사전 편찬의 논리 _051
3.1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정책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조선어사전 _051
{표} 말모이 와 조선어사전(원고본)의 비교 _053
3.2 조선 민족의 갱생을 위한 도구로서의 조선어사전 _054
4 해방 이후의 국어사전 편찬 논리 _056
4-1 국어 재건 활동으로서 국어사전 편찬 _056
4-2 국어사전에 대한 실용적 접근 _061
5 결론 _062
[논설] “국어사전과 어문민족주의”에 대한 토론문 –조남호(명지대학교) _065
4. 사전의 사회적 기능------발표자: 한용운 / 토론자: 조태린 _067
[논저] 20세기 이후 편찬된 우리말 사전의 사회적 기능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한용운(겨레말큰사전) _069
1. 들어가는 말 _069
2. 우리말 사전의 편찬 목적 _069
(1)20세게 이후의 우리말 사전 _072
3 <겨레말큰사전>의 편찬 목적 _072
3.1 남북 어휘 차이 현황 _073
(2) <표대>와 <조대>의 올림말 비교 _073
(3) <표대>와 <조대.의 어느 한쪽 사전에만 등재된 일반어 _073
(4) <표대>를 기준으로 한, <표대>와 <조대>의 전문어 비교 _074
3.2 <겨레말큰사전>의 편찬 목적과 원칙 _076
(6) <겨레말큰사전> 공동편찬요강 _077
3.3 <겨레말큰사전> 편찬 현황 _078
(7) 남북 공동회의 개최 현황 _079
(8) <겨레말큰사전> 편찬 과정 _079
(9) 집필 원고 합의 과정과 ‘<겨레말큰사전>의 미시구조 _079
4 맺음말 _082
<참고> 20세기 이후 편찬된 국어사전의 속표지 _084
[논설] “20세기 이후 편찬된 우리말 사전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토론문 –조태린(연세대)
_085
<주제 발표 3부> 사전의 현재와 미래 – 사전의 변화와 발전 가능성
5. 말뭉치 언어학과 사전 편찬-------발표자: 남기심,김한샘 / 토론자: 도원영 _089
[논저] 말뭉치 언어학과 사전 편찬 –연세한국어사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기심.김한샘(연세 대) _091
1. 머리말
2. 사전 편찬을 위한 말뭉치의 도입
2-1 말뭉치 활용 사전에 대한 다양한 관점 _091
2-2 한국어 사전 편찬을 위한 말뭉치의 도입 _092
3. 말뭉치 활용 사전의 유형 _094
3-1 말뭉치 기반 사전과 말뭉치 중심 사전 _094
3-2 원시 말뭉치 활용 사전과 주석 말뭉치 활용 사전 _096
4 최초의 말뭉치 중심 한국어 사전으로서의 연세한국어사전 편찬
4-1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을 위한 연세 말뭉치의 구축과 분석 _097
[표 1] 연세한국어사전 편찬을 위한 연세말뭉치 일람 _098
4-2 연세한국어사전의 거시 구조 _100
4-3 연세한국어사전의 미시 구조 _100
5 맺음말 _102
[논설] “말뭉치 언어학과 사전 편찬”에 대한 토론문 –도원영(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_105
6. 지식 포털과 온라인 사전 --------발표자: 장경식 / 토론자: 이기황 _107
1 머리말 _109
2 사전 편찬이라는 “일” _110
가 사전 편찬의 전제 _110
나 사전 편찬의 요소 _112
1) 사용 언어의 수 _112
2)자금 조달 방법 _112
3)사용자 연령 _112
4)사전의 크기 _112
5)분야별 취급 방법 규모 _113
6)취급되는 언어의 무리에 대한 한정 _113
7)어휘의 단위 _113
8)사용자의 제1언어 _113
9)수록 대상 시기 _113
10)근거가 되는 언어관 _113
11)검색법 _113
3 지식 포털과 온라인 사전 _114
가 지식 포털의 개념과 양상 _114
나 온라인 사전의 여러 앙상 _116
다 “온라인 사전”에 결여된 비평의 관점 _117
4 다시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_118
가 전통적 의미의 지식 _118
나 ‘온라인 사전’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지식 _120
다 한국의 ‘온라인 사전’ 데이터 _121
라 사용자의 비평적 안목 _121
5 맺는 말 _122
[논설] “지식 포털에 온라인 사전”에 대한 토론문 – 이기황 ㈜다음 소프트 _125
1)‘지식’ 개념의 혼돈과 확장 _125
[그림 1] DIKW 위계의 흐름도(Wikipedia 2017a) e:형식지, t:암묵지
2)지식 네트워크와 사전 편찬자의 역할 _126
[그림 2] 그림으로 나타낸 간단한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