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몽골의 언어와 문학
제1장 몽골어의 세계 = 16
1. 몽골어 = 17
(1) 몽골의 몽골어 = 17
(2) 중국의 몽골어 = 19
2. 오이라드-칼미크어 = 21
(1) 몽골의 오이라드어 = 22
(2) 중국의 오이라드어 = 24
(3) 러시아의 칼미크어 = 26
3. 부리야드어 = 29
(1) 몽골의 부리야드어 = 31
(2) 중국의 부리야드어 = 31
(3) 러시아의 부리야드어 = 33
4. 다고르어 = 37
5. 시라 요구르어 = 43
6. 몽구오르어 = 46
7. 보난어 = 50
8. 둥샹어 = 55
9. 캉자어 = 58
10. 모골어 = 60
제2장 문자와 음운 = 61
1. 몽골 문자 = 61
2. 음운 = 65
(1) 모음 = 65
① 단모음 = 65
② 장모음 = 68
③ 이중모음과 삼중모음 = 69
④ 모음조화 = 71
(2) 자음 = 72
① 할하 몽골어의 자음 음소 = 72
② 자음의 변별적 자질: 유무성과 유무기 = 78
③ 어두자음군 = 79
(3) 비분절 자질 = 79
① 모음의 장단 = 79
② 강세 = 79
③ 성조 = 80
④ 억양 = 80
제3장 문법 = 81
1. 문장 구조 = 81
(1) 기본 어순 = 81
(2) 도치 = 82
① 강조를 위한 도치 = 82
② 시어 등의 경우 = 82
(3) 인칭귀속과 어순 = 83
(4) 관계절과 어순 = 83
2. 형태 구조 = 84
(1) 명사 = 84
① 명사의 수 = 85
㉠ 다양한 복수 표시 접사 = 85
㉡ 다종 복수형, 복수의 중복 표시, 의미에 따른 분화, 유추 등 = 88
㉢ 특수한 복수형 = 89
㉣ 복수 표시의 생략 = 89
② 명사의 격 = 90
㉠ 주격 = 90
㉡ 속격 = 92
㉢ 대격 = 95
㉣ 여처격 = 97
㉤ 탈격 = 98
㉥ 도구격 = 99
㉦ 공동격 = 100
㉧ 방향격 = 102
㉨ 몽골어와 한국어의 격 표시 형태소의 차이 = 103
㉩ 호격 = 103
③ 격과 귀속 관계 = 105
㉠ 주어귀속 = 105
㉡ 인칭귀속 = 107
(2) 대명사 = 108
①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 = 108
㉠ 인칭대명사의 1인칭과 2인칭 = 108
㉡ 인칭대명사의 3인칭과 지시대명사 = 111
② 의문대명사와 부정대명사 = 112
③ 재귀대명사 = 113
④ 소유대명사 = 114
(3) 수사 = 115
① 기본 개념 = 115
② 순서, 배분(配分), 배(陪), 집합, 지소(指小) 등 = 118
③ 사칙연산(四則演算)과 분수(分數), 백분율, 소수 등 = 118
④ 수사의 다양한 용례 = 119
㉠ 연월일의 표시 = 119
㉡ 요일의 표시 = 120
㉢ 시각과 시간 = 122
㉣ 전화번호 = 122
⑤ 접속사로서의 수사 = 122
(4) 동사 = 123
① 종결형 = 123
㉠ 직설법 = 123
㉡ 원망법(願望法) = 124
② 접속형 = 127
㉠ 대등접속 = 127
㉡ 종속접속 = 129
③ 동명사형 = 131
④ 동사의 상과 태 = 135
㉠ 동사의 상 = 135
㉡ 동사의 태 = 138
(5) 형용사 = 139
① 몽골어 형용사의 형태적 특징 = 139
② 형용사의 비교 = 140
③ 형용사의 강조 = 140
④ 형용사의 지소(指小) 표현과 -хан⁴ = 141
⑤ 형용사의 약화 표현 -втар⁴, -дуу? = 142
(6) 부사 = 143
(7) 접속사 = 143
(8) 후치사 = 145
(9) 첨사(Сул үг) = 148
① 의문 첨사 = 148
㉠ 판정의문의 уу⁴ = 148
㉡ 설명의문의 вэ² = 148
② 부정 첨사 = 149
③ 강조, 긍정, 추측의 첨사 = 151
④ 계사의 역할을 하는 첨사 = 151
⑤ 초점을 표시하는 첨사 = 153
(10) 감탄사 = 153
제4장 몽골 문학의 감상 = 155
1. 전통문학의 감상 = 155
(1)《몽골비사》 = 155
(2) 속담과 격언 = 160
2. 현대문학의 감상 = 173
(1)《나의 고향》 = 173
(2)《나는 몽골 사람입니다》 = 179
(3)《맑은 타미르 강》 = 183
제2부 몽골의 사회와 문화
제5장 유목전통과 몽골 사람의 삶 = 194
1. 몽골 고원의 유목 = 194
2. 유목의 방식을 결정하는 요소들 = 195
(1) 기후와 계절 = 195
(2) 능률 = 196
(3) 시장 가격 = 197
(4) 현실의 제약 = 198
3. 유목전통과 주거문화 = 199
4. 유목전통과 음식문화 = 204
(1) 유제품 = 204
(2) 고기 음식 = 207
(3) 몽골 사람들의 음식문화 = 212
5. 유목전통과 복식문화 = 218
제6장 몽골의 현재, 과거, 한국과 몽골 = 222
1. 몽골 사회의 현재 = 222
2. 몽골 사회의 과거 = 223
(1) 몽골 땅의 초기 역사 = 223
(2) 칭기스 칸의 통일 = 224
(3) 몽골의 세계 원정 = 225
(4) 몽골 세계 제국의 몰락과 겔룩바 불교의 수용 = 225
(5) 청의 지배 = 226
(6) 독립과 대 소련 종속 = 227
(7) 소련의 붕괴와 민주화, 시장경제 = 229
3. 한몽 관계의 현재와 미래 = 229
4. 몽골 신문, 잡지 기사 = 231
(1) 국가 대경축 나담 행사 일정 = 231
(2) 몽골의 가축 = 239
(3) 식량 문제 = 242
(4) 인신매매 = 245
(5) 대한민국 정부 초청 장학생 = 248
(6) 몽골 사람들의 금기 = 250
(7) 개고기 매매 기도 적발 = 256
(8) 자살 기도 = 259
(9) 라마의 행패 = 260
(10) 가축 도둑 = 260
(11) 두려움 = 264
제7장 몽골 사람과 친구 되기 = 273
1. 몽골 사람들의 인사법 = 273
2. 몽골 사람의 이름 = 280
(1) 이름이 갖는 의미 = 280
(2) 몽골 이름의 구조 = 281
(3) 인구 증가와 이름의 변화 = 285
(4) 외래문화와 몽골 사람의 이름 = 286
(5) 아이 이름과 부모의 소망, 몽골 사회의 "남자다움"과 "여자다움" = 290
(6) 예외를 통해 본 몽골 사람, 몽골 사회 = 293
① 산자잉 모농과 우르징깅 모농 = 293
② 촐론체첵, 에르덴촉트 등 = 294
몽한 소사전 = 297
참고문헌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