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9세기 초중반 가집 『흥비부』의 노랫말 변용 양상
1. 서언 = 11
2. 고유 작품을 통해 본 편찬 진용의 성향 = 14
3. 노랫말 변용의 양상 = 22
4. 소결 = 43
19세기 초중반 가집 『청구영언 육당본』의 노랫말 변용 양상
1. 서언 = 45
2. 편찬 진용과 『청구영언 육당본』의 성향 = 46
3. 『청구영언 육당본』노랫말의 양상과 특징 = 50
4. 『청구영언 육당본』의 시가사적 위상 = 64
『흥비부』와 『청구영언 육당본』을 통해 본 노랫말 변용의 두 흐름
1. 서언 = 67
2. 『청육』의 주류성과 『흥비부』의 주변성 = 68
3. 『청육』의 문언체적인 변모와 『흥비부』의 구어체적인 변모 = 75
4. 도성 문물 도성 풍광의 묘사 유무 = 81
5. 결어 = 82
19세기의 시조 한역과 한시의 시조화
1. 서론 = 85
2. 한시 현토형 시조의 양상 = 86
3. 시조의 7언절구형 한시화 양상 = 100
4. 한시 현토형 시조와 소악부형 한시의 문학사적 성격 = 132
상촌 신흠 시조의 발생태와 수용태
1. 서언 = 139
2. 상촌 시조의 발생태 = 143
3. 상촌 시조의 수용태 = 171
4. 결어 = 185
사설시조 〈각시내 내 첩(妾)이 되나〉의 의미와 의미 변용
1. 서언 = 187
2. 〈각시내 내 첩(妾)이 되나〉의 본래적 의미 = 189
3. 〈각시내 내 첩(妾)이 되나〉의 의미 변용 = 195
4. "각씨네 계열" 사설시조의 후대적 수용과 그 향방 = 199
17세기 자연시가의 양상과 그 역사적 성격
1. 조선시대 자연시가 해석의 틀 = 205
2. 17세기 자연시가 해석의 쟁점 = 207
3. 17세기 자연시가의 양상과 그 특질 = 214
4. 17세기 자연시가의 역사적 성격 = 250
조선후기 향촌사대부 시가와 취향의 문제
1. 서언 = 253
2. 모선(慕先) 취향과 유적(遺跡)·구물(舊物)에 대한 향수 = 255
3. 유람(遊覽) 취향과 유람 행위에 대한 자의식 = 263
4. 영농(營農) 친화와 새로운 신분(身分) 정체감(正體感) = 274
5. 결언 = 285
〈독락팔곡〉과 〈전가팔곡〉의 거리
1. 서언 = 289
2. 〈독락팔곡〉의 세계 = 290
3. 〈전가팔곡〉의 세계 = 301
4. 두 작품의 거리 = 309
조선후기 향촌사족층 여성의 삶과 시집살이 서사
1. 입론의 전제 : 여성가사 연구 시각의 반성적 재검토 = 313
2. 이간의 집과 윤씨 부인의 삶 = 315
3. 김소행의 집과 〈삼한습유〉의 택서담론 = 320
4. 〈福善禍淫歌〉의 구도와 그 사회사적 含意 = 329
"존재 위백규 문학평전"을 위한 예비적 검토
1. 위백규 문학의 위상과 자료 개관 = 341
2. 작품 연보 재구의 과제와 연구 현황 = 344
3. 생애의 전개와 위백규 문학의 스펙트럼 = 347
4. 위백규 문학의 스펙트럼과 연구의 과제 = 380
참고 문헌 = 383
찾아보기 = 397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