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한인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양상-이민, 재이민, 역이민 경우를 중심으로 / 이명재 1. 문제 제기와 접근 2. 재외 한인과 한글 문단의 현황 3. 한인 디아스포라의 몇 가지 양상
강제적 ‘집단 이주’의 인간학-고려인 문학에 나타난 강제 이주를 중심으로 / 임형모 1. 강제 이주와 문학 읽기 2. 경계인의 삶과 내면화된 체념 3. 자기 구원의 세 가지 방식 4. 강제적 ‘집단 이주’의 인간학
김만선 문학세계의 변모 양상 연구 / 정원채 1. 서론 2. 민중의 인간에 대한 관심 : 해방 전 3. 정치의식의 구체화 과정 : 해방에서 월북 전까지 4. 미군에 대한 증오심과 대중적 영웅주의의 반영 : 월북 후 5. 결론
‘노동하는 여행’, ‘월경’의 정동들과 ‘고향’의 의미-1970년대 취업 이민 모티프 서사를 중심으로 / 이?우 1. 노동의 여행을 위한 월경들 2. ‘잔혹한 낙관주의’가 삼킨 정동들 3. ‘고향’ 표상과 훼손된 존엄의 회복 4. ‘월경’ 이후의 선택들, 혹은 남겨진 자들의 윤리
제2부 귀향과 가족
가족 상봉 소설의 형상화 연구-남북한 소설과 조선족 소설의 경우 / 이정숙 1. 들어가며 : 이산과 가족 찾기 2. ‘이산가족’의 공식적 만남과 유화적 접근 : 허춘식의 『혈맥』(1988) 3. 월북한 아버지 만나보기와 상처 치유 : 홍상화의 「어머니 마음」(1993) 4. 남과 북의 정서적 교집합 : 이여천의 「비 온 뒤 무지개」(2000) 5. 나오며 : 가족 관계의 복원
박완서 문학의 고향 회귀와 근대 도시 개성 / 김종회 1. 개성으로 향하는 관심의 방향 2. 박완서 문학에 나타난 개성의 의미 3. 마무리
해방 직후 한국 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정주의 선택과 그 의미-만주 지역에서의 귀환과 정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 최병우 1. 서론 2. 만주 지역의 혼란과 조선인의 불안 3. 귀환과 정주, 그 갈등과 선택 4. 결론
1930년대 소설의 내적 형식으로서의 ‘귀향’의 두 양상 / 김동환 1. ‘귀향’의 전제로서의 ‘출향’의 전경화 2. 귀향의 양상 3. 1930년대 소설의 내적 형식으로서의 ‘출향-귀향’의 의미
제3부 탈향과 정착
고향의 강-유재용, 「성하(聖河)」를 중심으로 / 유인순 1. 들어가는 글 2. 한국전쟁과 포로문학 3. 제3국 선택의 이유와 그 이후 4. 『성하』의 서사 전개와 망향 의식 5. 나가는 글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분단 현실의 재현과 갈등 양상의 모색 / 김인경 1. 들어가며 2. 자본주의의 모순과 타자적 인식의 변화 3. 현실 적응의 경계와 가상세계의 탐색 4. 나오며
전후 여성 작가의 월남 체험과 그 서사-임옥인의 『월남전후』와 『붉은 밤』을 중심으로 / 곽승숙 1. 서론 2. 월남 과정의 수기화 : 『월남전후』 3. 전시 상황의 수기화 : 『붉은 밤』 4. 결론
제4부 여로와 향수
한국 역사소설과 성장의 행로 / 정호웅 1. 한국 역사소설과 주인공의 행로 2. 세계 투쟁의 여로 3. 리얼리스트의 눈 4. 주역과 시경 5. 자기 부정, 자기 정화의 여로 6. 새로운 역사소설을 향하여
21세기 신유목민 소설 : 청년의 고립된 자아와 디스토피아적 상상력 -김애란 소설을 중심으로 / 장미영 1. 들어가며 2. 장소 상실의 ‘방’과 폐쇄적 자아 3. 비주거지 거주와 부유하는 자아 4. 철거된 ‘방’과 파괴된 자아 5. 마치며
윤대녕 소설의 노스탤지어 미학-『은어낚시통신』을 중심으로 / 백지혜 1. 90년대 소설의 변화와 윤대녕 2. 공동체에서 빠져나간 개인의 탈주와 인위적 현실의 창조 3. ‘낡고 사라지는 것’에 대한 전면적 부활 4. ‘은어’, 현대적 시간 관념에 대한 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