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 근대문학과 이데올로기
민족담론에서 국가(반공)담론으로의 현실인식의 궤적 - 김정숙
1. 머리말
2. 해방 공간의 형상화와 사실적 현실인식
3. 사랑의 통속화와 반공주의의 결합
4. 맺음말
일제 말 전시기 식민 주체의 호명 방식 ─ 『放送小說名作選』을 중심으로
- 김화선
1. 서론
2. ‘소국민’과 식민주의의 내면화 ─ 식민지 조선 어린이의 정체성
3. 군국의 어머니와 이상적 가정의 수호자 ─ 식민지 조선 여성의 정체성
4. 결론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양상과 언문일치 - 김현정
1. 들어가며
2. 국문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논리
3. 국문운동과 언문일치와의 관계
4. 나오며
근대문학사상의 형성과 효용 - 남기택
1. 머리말
2. 근대문학관의 전개
3. 문학의 자리와 효용의 가치
4. ‘충격’의 실체
5. 맺음말
김동환과 친일문학 ─ ‘힘의 논리’의 발현 양상을 중심으로
- 오홍진
1.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2. ‘애국문학’의 논리 ─ 전통 부정과 힘의 시학
3. ‘대동아공영론’의 환상, 친일의 길
4. 근대적 주체의 내적 모순과 친일문학
박영희 문학론 연구 ─ ‘생활’ 개념을 중심으로 - 오홍진
1. 들어가는 글
2. 낭만적 ‘생生’의 비애와 ‘생활’의 발견
3. 무산자의 생활의식과 계급문학의 역학
4. 생활의식의 심미화와 친일문학의 길
5. 나가는 글
제2부 문학의 힘, 실천의 윤리학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성장 서사
─ 여성 인물이 주인공인 작품을 중심으로 - 김화선
1. 청소년문학과 성장의 관계
2. 유체이탈과 일기장의 기록 사이, 직녀식 성장 서사의 의미
3. 문제아의 자아 발견과 실크로드 여행 서사의 의미
4. 결론
가난한 사람들의 유랑과 가족의 해체
─ 공선옥의 『유랑가족』을 중심으로 - 서혜지
1. 서론
2. 경계를 넘는 여성과 해체되는 가족
3. 살아남기 위한 선택, 유랑
4. 희망의 가능성 ‘유랑가족’
5. 결론
다원적 소통을 향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 유경수
1. 서언
2. 새로운 삶을 찾는 디아스포라
3. 희망의 연대를 생성하는 소통의 공간
4. 다원적 조화의 가능성을 지닌 치유자로서의 바리
5. 결언
사유와 실천의 윤리학
─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 홍웅기
1. 들어가며
2. 삶의 종결과 연속의 사유방식
3. 삶에 대한 가치와 윤리
4. 신화의 현대적 변용과 윤리적 가치
5. 결론을 대신하여
자유의 새로운 공간 찾기 ─ 조선희 작품론 - 홍웅기
1. 욕망과 실천의 대상 : 공간
2. 허구적 현실과 현실적 허구의 재현
3.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향수
제3부 지역, 일상, 환상
구경꾼과 광증 발현자의 거리 ─ 최인석 소설을 중심으로 - 고영진
1. 인물에 관한 작가 영역의 문제
2. 구경꾼과 광증발현자 간의 폭력적 거리
3. 구경꾼과 광증발현자 간의 환상적 거리
4. 업둥이 로맨스와 유토피아
5. 환상, 혹은 소설의 사회사
지역의 힘, 지역의 문학 2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김화선
1. 서론
2. 지역과 삶, 민중성의 발견
3. 충청도 사투리가 갖는 효과
4. 결론
한국전쟁과 지역문학 ─ 강원지역의 경우 - 남기택
1. 머리말
2. 한국전쟁 이전의 매체 양상
3. 전후 강원지역문학장의 구성
4. 맺음말
비워냄과 차오름, 대상을 끌어안는 힘 ─ 김완하론 - 박현이
1. 시작하며
2. 자연의 적막과 삶의 고통, 대상과의 거리감
3. 비워냄과 차오름, 삶의 자정작용
4. 길의 열림, 대상을 끌어안는 힘
5. 마치며
잡범문학의 진수, 유용주의 『어느 잡범에 대한 수사 보고』- 오연희